역사, 인종, 젠더와 ‘쌍안경 비전’ - 데이비드 브래들리의 『체니스빌 사건』
History, Race, Gender and ‘Binocular Vision’ - David Bradley’s The Chaneysville Incident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3권 3호
- 2024.09
- 29 - 57 (29 pages)
데이비드 브래들리의 『체니스빌 사건』은 흑인남성 존 워싱턴이 5세대에 걸친 가족의 역사를 발굴하면서 지배서사에 의해 매장된 가족의 역사와 미국흑인의 역사를 복원하는 과정을 다룬다. 본 논문은 먼저 올드 잭의 스토리텔링, 아버지와 증조부가 남긴 기록과 같은 ‘대항기억’을 토대로 존이 발견하는 선조들의 저항서사를 살펴본다. 그리고 서구적 역사방법론에 한계를 느낀 존이 역사적 상상력과 아프리카적 죽음 개념을 이용해서 증조부와 도망노예들의 죽음, 아버지의 자살에 얽힌 비밀을 밝혀내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존이 대립적인 인식론을 모두 이용해서 가족사의 진실에 도달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더 나아가 백인과 여성을 혐오하던 존이 어떻게 인종과 젠더에 대한 편협한 사고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존의 변화를 통해 브래들리는 인종갈등이 여전히 지속되는 포스트민권 시대에 미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태도로 대립적인 관점들의 어느 하나에 우위를 두지 않고 서로 연결시켜 파악하는 인식의 전환을 제시한다.
David Bradley's The Chaneysville Incident deals with how John Washington, a black male historian, excavates five generations of his family's history and restores the histories of his family and black Americans buried by dominant narratives.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resistance narratives of John's ancestors that he discovers through 'counter-memories' such as Old Jack's storytelling and the records kept by his father and great-grandfather. It then examines how John, frustrated by the limitations of Western historical methodology, uses historical imagination and African notions of death to uncover his father’s suicide as well as the deaths of his great-grandfather and fugitive slaves. Thus it is revealed that employing both oppositional epistemologies leads John to confront the truth of his family history. Furthermore, the paper explores how John's hatred of whites and women begins to unravel as he unearths his family history and begins to move away from fixed ideas about race and gender. Through John's transformation, Bradley suggests a shift in perception that does not favor either of the opposing perspectives, but rather connects the dots between them, as an attitude which American society should seek for in the post-civil rights era when racial tensions still persist.
I. 들어가기
II. 대항기억(counter-memory)과 저항서사
III. 역사적 상상력과 아프리카적 죽음 개념
IV. ‘쌍안경 비전’
V. 나가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