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3권 3호.jpg](http:///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6/1063417.jpg)
베트남 학습자들의 한국어 읽기에 나타난 자음 발음 오류
Errors in the pronunciation of Korean consonants in Vietnamese learners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3권 3호
- 2024.09
- 93 - 114 (22 pages)
이 논문의 목적은 베트남 학습자들의 읽기에 나타난 발음 오류를 살펴보고 그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오류가 무엇인가 대조분석(Contrastive analysis)과 언어 전이(Language transfer)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파악해 보고 그 원인을 찾고자 한다. 오류는 근본적으로 두 언어 사이에서 오는 언어의 구조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통해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 중 특히 베트남 학생들에게 어려운 것으로 여겨지는 한국어의 경음 및 경음화, 유음과 유음의 비음화, 유성음화와 구개음화에 대한 발음의 오류를 기초로 대조분석의 관점에서 전이와 난이도를 논하고자 한다. 실험에 의하면 첫째, 유음 비음화의 오류는 베트남 학습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주로 전이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원래 베트남어 ‘ㄹ’ [l]을 그대로 발음하려는 경향에서 발생한 것 같다. 둘째, 경음과 경음화의 경우 경음보다는 경음화에서 많은 오류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베트남어에서 종성 ‘ㄹ’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어를 발음할 때 ‘ㄹ’을 ‘ㄴ’으로 발음하는 오류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한국어 자음은 기본적으로 무성이다. 단 유성 사이의 무성 자음은 유성으로 발음된다. 하지만 베트남어는 유성과 무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국어 무성을 유성으로 발음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실제로 ‘교통’을 [교동]이나 [꾜동]으로 발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두 언어의 차이가 언어의 오류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이의 영향을 줄이고 학습을 통해 두 언어 간 차이점과 공통점을 학습자들이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언어습득에 더욱더 효율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pronunciation errors in Vietnamese learners’ reading and analyze their causes. Above all, this paper will identify possible errors through contrastive analysis and language transfer to find out what the errors are and find their causes. Since most errors are fundamentally caused by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is paper will analyze their causes through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Among them, this paper would like to discuss the transfer and difficul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ive analysis based on pronunciation errors in the tense consonants and tensified consonants of Korean, liquids and the nasalization of the liquid consonant, and voiced consonants and palatalizations in Korean, which are considered difficult for Vietnamese students. First, liquid nasalization errors turned out to be the most difficult for Vietnamese students. This is especially closely related to transfer and seems to have arisen from the tendency to pronounce the original Vietnamese 'ㄹ' [l] as it is. Second, in the case of tense and tensified consonants, tensified consonant process shows more errors than tense consonants. Third, because the final consonant 'l' is not allowed in Vietnamese, there is an error in pronouncing 'l' as 'n' when pronouncing Korean. Fourth, Korean consonants are basically voiceless. However, voiceless consonants between voiced sounds are pronounced as voiced. However, because Vietnamese has both voiced and voiceless sounds, there is the possibility of Korean voiceless sounds being pronounced as voiced. It was even observed that ‘kyotong’ (traffic) was pronounced [gyodong] or [g’yodong]. In conclus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language errors. To overcome this,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efficient for language acquisition to reduce the influence of transfer and allow students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rough learning.
I. 서론
II. 오류와 전이
III.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차이점과 공통점
IV. 한국어 발음 오류분석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