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3권 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연극학계 수행성연구 메타비평 II - 수행성 강도와 공연중단의 사건성 중심으로

Meta-Criticism of Performance Research in Korea : Focusing on the Strength of Performativity and Meaning of Performance-Interruption

DOI : 10.35222/IHSU.2024.43.3.145
  • 239

본고는 ‘수행성 performativity과 연극’을 키워드로 2000년부터 2023년에 사이에 발표된 국내학술논문 100편을 대상으로, 이에 나타난 수행성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점을 수행성의 강도 그리고 공연중단의 사건성을 중심으로 논증하고자 한다. 한국 연극학계의 수행성연구에는 첫째, 수행성의 강도가 정확히 분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수행성의 성공과 실패 혹은 적절함과 부적절함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서술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는 수행성이론에서 수행성의 강도에 따른 약한 콘셉트의 수행성, 강한 콘셉트의 수행성, 그리고 극단적인 콘셉트의 수행성을 그 기준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거의 모든 연구가 ‘성공’한 수행성에 관한 연구로 일관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중단된 공연, 기존의 개념으로 보면 실패한 공연을 사례로 공연중단의 사건성이 지니는 수행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이로써 연극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한국수행성 연구가 더 정치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d to criticize the methodological problems of Performance Studies in Korea and alternatives to 100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23 under the keyword of “performtivity and theatre.” In the Korean Performance Studies, first, it does not describe the intensity of the performativity and describes it in a “performative action” based on a specific theory. And the success and failure of performance or appropriateness and inadequacy is not described.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present three concepts of performance intensity that are important in performance theory. Second, almost all studies are consistent with studies on 'successful' performance, so this paper intends to clarify the implications of the discontinuation of performance by using interrupted performances and failed performances as examples.

I. 서론

II. 수행성의 강도에 대하여

III.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