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놀이 학습 공간의 감성적 특성을 활용한 학원 공간 설계
Academy space design utilizing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lay and learning spaces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9, No. 3(통권 32권)
- 2024.09
- 463 - 474 (12 pages)
4차 산업 혁명과 팬데믹은 교육 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기존 교육 방식의 한계 속에서 디지털 기술의 빠른 발전과 비대면 교육의 확산은 학습자들의 참여와 몰입을 이끌어내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놀이는 창의성, 협력, 사회적 기술, 문제 해결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현대 교육 환경의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놀이 공간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 감성 디자인 구성 요소들을 활용한 학습 공간의 디자인 구현 과정을 살펴보는 논문이다. 이를 위해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 애런 월터의 감성 디자인 이론, 감성적 공간의 구성 요소에 대한 국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진행 되었다. 제안된 디자인은 어린이들의 감성적 즐거움을 바탕으로 유대감의 회복과 학습의 동기 및 성과를 자연스럽게 높이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andemic are bringing about major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mi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ducation methods,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non-face-to-face education require new methods to draw learners' participation and immersion. Play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moder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rovides opportunities to develop creativity, cooperation, social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This study is a thesis that examines the meaning of play spaces in modern society and examines the design implementation process of learning spaces using emotional design components. To this end, it was conducted based on Maslow's theory of desire, Aaron Walter's theory of emotional design, and domestic prior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emotional space. The proposed design is meaningful in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naturally increases the motivation and outcome of learning and the restoration of bonds based on the pleasuable of childre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디자인 제안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