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9, No. 3(통권 32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등 문화상품 도안에서 조선후기 풍속화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ate Joseon Dynasty Genre Painting in Paper Lamp Cultural Product Patterns

DOI : 10.46248/kidrs.2024.3.540
  • 3

한국문화가 국제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중에서 조선후기 풍속화는 고대 한국사회의 생활 풍습을 시각적 이미지로 담아낸 한국 전통문화의 중요한 매개체라 할 수 있으며 이 풍속화를 지등 문화상품의 도안으로 활용하여 한국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홍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지등 문화상품 디자인에 조선후기 풍속화의 새로운 적용 형태를 탐색하여 그 범위를 확대하고 한국의 전통문화를 다양하게 표현하고자 한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조선후기 풍속화의 특징과 예술적 가치를 분석하고, 시장을 기반으로 한 문화상품에서의 적용 현황을 고찰하였다. 둘째, 현재 지등 문화상품에서 조선후기 풍속화의 적용사례를 분석한 결과, 조선후기 풍속화는 특정한 명절과 장소에서만 중시되어 일상적인 가정용 지등 문화상품에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양식이 비교적 단순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 및 시장조사 결과를 통해 조선후기 풍속화를 지등상품에 적용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지등 재료와 기타 디자인 실천 과정을 결합하여 지등 문화상품에 조선후기 민화를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탐구하여 전통문화와 현대 문화상품의 융합을 위한 새로운 시사점과 방법을 제공하고 전통문화의 계승과 혁신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Korean culture is attracting attentio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s its international status has risen. Among them,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medium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at captures the lifestyle of ancient Korean society as a visual image, an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inherit and promote Korean traditional culture by using this genre painting as a design for geographical cultural product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new applications of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design geographical cultural products, expand its scope, and express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various way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values of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analyzed, and the application status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market was consider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lication cases of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geographical cultural products, it was found that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emphasized only on specific holidays and places, so it was not fully utilized in cultural products such as everyday land, and the style appeared relatively simple. Finally, through case analysis and market survey results, an alternative to applying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geographical products was suggest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new way to use folk paintings in late Joseon Dynasty cultural products by combining modern geodge materials and other design practice processes to provide new implications and methods for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cultural products, and to provide useful data for the succession and inno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조선후기 풍속화의 지등 문화상품 도안 적용사례 분석

4. 조선후기 풍속화의 지등 문화상품 도안 적용사고와 디자인 실천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