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2015 초등 실과교육과정과 이전 교육과정과의 달라진 점을 비교 분석하고 시대상에 맞는 지속가능한 차원의 농업의 강조점에 대하여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교육의 관점에서 본 농업교육을 위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내 농업 생명과학 영역의 목표, 내용체계, 성취기준,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이전 교육과정에 비하여 2015 실과 개정교육과정에서 확장된 농업 관련 내용 중에서 지속가능이라는 핵심개념을 둔 지속가능한 차원의 농업, 즉 친환경 미래 농업과 생활 속의 농업 체험에 관련된 내용 요소를 고찰하고 최신 농업 관련 내용을 담아 지속가능한 농업으로의 친환경 농업의 생활 속 실천 방안에 대하여 제시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첫째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는 핵심역량별 교수학습방법을 더욱 강조하고 있으며 둘째,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 요소를 제시하고 셋째, 국가 사회적 요구에 따라 창조 및 지속가능이라는 핵심 개념을 통해 친환경 농업을 도입하여 내용체계를 강조하였다. 2009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농업영역에서 학습 요소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나 지속가능이라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농업 즉, 친환경 농업으로의 확대 적용이 시도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개념은 현재 농업발전 속에서 도시농업(urban agriculture) 개념에서 적용되고 있다. 더불어 도시농업 및 이의 기반이 되는 친환경 미래 농업은 미래 사회의 지속가능성 및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의 농업으로 연결해 가야 하며 실과 내 농업교육에서는 단순한 기술교육만이 아닌 생활 속에서 지속가능한 다차원적 농업으로서 도시농업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 농업을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새로운 교과서에서 담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념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교과내용으로 로컬푸드, 친환경 농업인증, 푸드마일리지 등에 관한 현재의 도시농업에 기반한 참신하고 실천적인 내용을 담되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 새롭게 강조되고 있는 ‘지속가능성’에 해당하는 정확한 개념을 농업적 측면에서 정리하여 다차원적인 농업의 가치와 실과 본연의 전인적 교육특성을 아우를 수 있는 교육내용의 전개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고려되었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to deduct implication which should be considered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education in sustainable growth education perspectiv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2015 elementary practical art education and previous educational course, and understanding advantages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a sustainable agriculture meeting phases of the times. This study has mainly compared and analyzed aim of agriculture, content system, achievement standard, and academic factor of 2009 and 2015 curriculum. And based on that, compared with previous curriculum,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plan to practic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as a sustainable agriculture in daily life by considering 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that focuses o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xperiences of agriculture in daily life, and displaying contents about latest agriculture among agriculture related contents extended from 2015 practical art curriculum reform. With such conclusions, first, 2015 revised practical art educational curriculum has emphasized on teaching-learning method for each core competences. Second, it has suggested academic factors focused on core concept. Third, it has emphasized on content system by introducing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through core concepts of creation and sustainability in accordance with national and social requests. Although there are only minor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factors of 2009 and 2015 educational curriculum, trial for extende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a sustainable agriculture focused on core concept of sustainability has practiced.
I. 서론
II. 2009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분석
III. 지속가능성과 연계한 농업내용 현황 및 분석
IV. 2015 실과 개정교육과정에 기반한 지속가능성 농업관련 내용 분석 및 제안
V. 종합 및 고찰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