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 농업 영역의 내용 구성 방향

The Direction of Agriculture Fields in Practical Arts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62
한국실과교육학회.jpg

이 연구는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 내 농업생명과학 영역의 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역대 교육과정에서 농업생명과학 내용을 검토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 및 성취 기준을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개발된 6종의 실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전 세계적으로 농업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농업생명과학 영역의 교육 내용은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일회성 체험 활동으로 제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더욱 강조되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교과서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실과 교과서의 학습 활동 및 내용 구성은 출판사 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지속가능’의 핵심 개념의 내용 요소인 ‘친환경 미래 농업’과 ‘생활 속의 농업 체험’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이 혼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5~6학년군 실과 교과서의 농업생명과학 영역에 대한 내용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시한 성취기준(해설 및 고려사항)에 맞춰 교육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구체적인 내용 요소를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발전 교육과 함께 실과 농업생명과학 영역에 새롭게 도입된 개념과 내용이 매우 광범위하므로, 초등학교 5~6학년 수준에서 적절히 다루어질 수 있도록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한 내용 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textbooks in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field under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achieve this,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content from previous curricula was reviewed, and a comparison of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between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was conducted. Additionally, the research findings were derived from an analysis of six practical arts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irst, despite the growing global importance of agricultural education, the content related to agricultural life science in Korea has been continuously reduced, often limited to one-off experiential activities. Given the increased emphasis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t is essential to develop textbooks that reflect this shift.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 structure of practical arts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epending on the publisher.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related to “eco-friendly future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experience in daily life,” which are key elements of the core concept of “sustainability,” were often conflated or mixed. Third,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utlin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content composition plan for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section of the 5th and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 was proposed. It was recommended that the educational goals be clearly defined and specific content elements be align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explanations and considerations) se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Lastly, as the newly introduced concepts and content in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section of practical arts, along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re quite extensive, it will be important to incorporate expert opinions in the content design to ensure these topics can be appropriately addressed for 5th and 6th grade students.

Ⅰ. 서론

Ⅱ.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농업생명과학 영역의 목표와 내용

Ⅲ.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농업생명과학 내용 분석

Ⅳ. 2022 개정 농업생명과학 영역의 교과서 내용 구성 방향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