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대한부동산학회지 제7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한국의 주거복지 연구동향 분석

A Study on the Trends of Research in Housing Welfare Using Text Network Analysis

DOI : 10.37407/kres.2024.42.3.113
  • 31

본 연구는 주거복지와 관련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게재된 논문 832편을 대상으 로, 게재논문의 특성에 대한 내용분석과 텍스트 네트워크 접근방법을 통해 시기별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시기별로 변화하는 주거문제와 주거복지정책 방향성에 대한 과제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주거복지 연구 동향을 시기별로 파악하기 위하여 주거복 지정책의 전환점을 바탕으로 3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구간(1975년~2003년)은 주택가격의 폭등, 주택의 양적 부족 문제 대응을 위해 주택공 급을 통한 양적인 확대를 지향하던 시기였다. 주거복지관련 연구는 하드웨어 부문의 주거복지 관련 연구 출현 빈도가 높고, 지역과 주택, 정책을 키워드로 한 공공임대주택과 주거욕구를 분석하는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2구간(2004년~2013년)은 주택법이 시행되고 본격적으로 주거의 질적 향상으로 정책 패러다임이 변모하는 시기였다. 이 시기에는 주거복 지라는 개념이 네트워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관련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다. 주거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주거복지적인 관점의 연구가 주류연구로 활발하게 수행된 것을 확인하였다. 3구간(2013년~2023년)은 주거기본법이 주택정책의 최상위 법으로 새롭게 제정되면서 수용자 맞춤형 주거정책이 시행되던 시기였다. 주거권으로서 주거문제에 대한 포괄적 접근으로 방향이 전환되면서 관련 연구들도 생애주기별 수요에 대응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This study analyzes 832 papers related to housing welfare published on RISS to identify trends in research over time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a text network approach. The aim is to explore challenges related to evolving housing issues and the direction of housing welfare policies across different periods. To analyze the trends in housing welfare research over time, the study divides the research into three periods based on key turning points in housing welfare policies. The first period (from 1975 to 2003) was characterized by a focus on quantitative expansion through housing supply to address the skyrocketing housing prices and the problem of housing shortages. During this time, research on housing welfare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hardware aspects, with a high frequency of studies analyzing public rental housing and housing needs using keywords such as region, housing, and policy.The second period (from 2004 to 2013) marked a shift in policy paradigms toward improving housing quality, particularly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Housing Act. During this period, the concept of housing welfare became central in the research network, leading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related studies. Research focusing on housing welfare perspectives, especially for vulnerable groups, became mainstream.The third period (from 2013 to 2023) was marked by the enactment of the Basic Housing Act as the highest legal framework for housing policy, ushering in an era of customized housing policies tailored to recipients. As housing issues began to be approached comprehensively as a matter of housing rights, related research increasingly focused on addressing the needs of different life stage.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분석의 틀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