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구변화 및 통화량증가과 지가변화에 대한 인과성을 시차분포 모형과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해서 분석했다. 전체적인 분석 모형은 인구변화, 통화량증가와 지가변화에 대한 시계열을 구축해서 모형을 추정해서 인과성을 분석했으며, 이를 기준으로 지가변화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는 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인구변화와 지가변화의 인과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인구변화는 지가변화와 인과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변화는 지가변화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지가변화는 인구가 증가하는 것에 비해서 10시차에 걸쳐서 약 3배의 지가상승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가변화와 인구변화의 분산분해 분석결과를 보면 지가변화(상승)의 13~16% 정도는 인구변화(증가)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통화량과 지가와의 인과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화량증가도 마찬가지로 지가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충격반응 분석결과 통화량증가는 약 5년 동안에 걸쳐서 지가변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의 크기는 10년에 걸쳐 통화량 1단위 변화가 약 73%의 지가 상승을 가져온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정부의 부동산정책은 지방의 인구유출에 따르는 지방의 지가 하락이나 부동산가격 하락에 초점을 맞춘 부동산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생산적인 부분에 사용되어져야 할 퉁화가 비생산적인 토지 투기 등에 집중되면 지가 상승이나 부동산 가격 상승 등의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부동산시장의 안정을 위해서는 인구변화와 통화량증가를 면밀히 분석해서 이에 대처해야 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lity between population changes, currency volume, and property price fluctuations using lag distribution models and granger causality tests. As a result of attempting to verify the causality between population and property prices, it was analyzed that population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property prices. Population growth immediately affects property prices, bringing about a property price increase effect approximately 3.49 times that of population growth over about 10 years.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of property price changes showed that about 13-18% of property price changes are attributable to population changes. The causality analysis between currency volume and property prices revealed that an increase in currency volume also affects property prices. Shock response analysis indicated that an increase in currency volume affects property prices over approximately four years, with one unit change in currency volume resulting in a property price change of about 73.44% units over a period of about 10 years.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about 49% of property price changes are attributable to currency volume changes.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의 틀
Ⅳ. 지가변화의 인과성에 대한 실증분석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