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와 융합 제2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 압록강, 고려 의주, 흥화진, 위원진, 정주(精州), 영덕, 영삭, 정융진의 위치 및 고구려 수도 국내성 위치 고찰 1부

The Research of Locations of Koryo Ablok river, Koryo Euiju, Heunghwajin, Uiwonjin, Jeongju, Yeongdeok, Yeongsak, Jeongyung and Koguryo Capital Guknaeseong Part 1

DOI : 10.55793/jkhc.2024.21.73
  • 26

이 연구의 목적은 고려 시대 강동 6주를 찾아서 고려 서북면 국경과 고려의 활동영역을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삼국사기, 고려사, 고려지 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병지, 요사지리지 등의 역사적 문헌을 참조하여, 1 부에서는 고려 압록강은 현재의 중국 대릉하이고, 고려 의주의 치소는 현재중국 대유수보진이고, 고려 흥화진은 현재 북진시이고, 고구려 수도 국내성은 현재의 금은보자촌을 중심으로 하여 동서 너비 20리 남북 너비 20리 폭을가진 고려 인주 안에 있는 지역이고, 왕궁 국내 위나암성은 현재의 금은보자촌 동쪽에 있는 성임을 보인다. 그리고 중국역사지리집에서 보주, 정주, 녹주의 위치가 현재 북한의 압록강에 하구와 압록강에 위치되어 있음을 통하여중국이 역사를 조작하고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2부에서는 송산은 현재의송산촌이 있는 산이고, 위원진은 현재 석불보향이고, 정주(精州)는 고려 송산현으로 현재 송산촌과 장가보진을 포함하는 지역이고, 정주진(精州鎭)은 정주(精州) 안에 있는 성으로 현재 장가보진이고, 고려 인주(麟州)는 고구려의 수도 국내성이 있었던 곳으로 고진강으로 둘러싸인 지역이고, 조여(鳥餘)는 인주 안에 있는 성으로 국내 위나암성을 남쪽으로 확장하고 성벽만 흙으로 쌓은 성벽만 토성이고, 정녕현은 고진강이 발원하는 지역이고, 영덕진은 정녕현 안에 있는 삼흥점진이고, 영삭진은 현재 흑산진이고, 정융진은 현재 정안진임을 보인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 의주목에 있는 여러 특수지역들위화도, 검동도, 조몰정도, 어적도, 난자도, 위원진, 정주진, 영덕진, 영삭진, 옥강, 고진강, 연평성, 전문령고성의 대응지역들을 밝힌다. 또한, 서울대학교규장각에 소장되어있는 고지도 광여도 의주군, 고지도 광여도 의주군 주기, 현재 북한의 의주군과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의주목을 비교 분석한다. 1부와 2부의 연구결과에 의하여, 고려 의주는 중국 대릉하 동쪽 120리 남쪽으로 80리 정도의 광활하고 넓은 지역이고, 고려 서북면 북방 국경 경계를지키는 중요한 성을 여러 개 가지고 있는 주(州)임을 밝힌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northwest borderline of Koryo by finding the area of 6 Jus in the right side of the Koryo Ablok river(now Daling river in China) in the age of Koryo Kingdom. We first show that in Part 1 Research, Koryo Ablok river is now Daling river in China,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of Koryo Euiju is now Daeyusubojin in China, Heunghwajin is now Bukgin Si in China, the castle Guknae Winaamseong is the old castle located at the right hand side of Jinyinpuzicun in China and Koguryeo Capital Guknaeseong is the neighborhood with radius 20 Li cetered at Jinyinpuzicun in China. by referring to the books that deal with history such as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Samguk Sagi), Koryosa, Koryosa choryo, Geography of Koryo, the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of Survey of the Geography of Joseon, Byeongj, Seongbo, Geography of Liao Dynasty. In Part 2 Research, we show the accurate place of the particular places of Euijumok.

1. 서론

2. 고려 강동 6주 축조의 역사적 배경과 위원진(威遠鎭), 정주(靜州), 정주진(靜州鎭), 정융진(定戎鎭)의 축조 과정

3. 고려 압록강, 고려 의주(義州)의 치소의 위치

4. 흥화진(興化鎭)의 위치

5. 고구려의 수도 국내성 위치

6. 1부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