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와 융합 제2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구려 皂衣·先人에 대한 東洋哲學史 관점의 小考 - 古書와 古墳壁畫의 해석 중 抽象을 근거로

A brief consideration of Oriental Philosophical Historical Perspective on Joeui and Seonin during the Goguryeo period. - Based on extracted views from the interpretations of ancient books and ancient murals

DOI : 10.55793/jkhc.2024.21.301
  • 24

잃어버린 자신의 역사를 찾아가는 노력에는 민족적 자긍심과 집요하고 냉정한 학자적 양심이 수반되어야 할 뿐이다. 조선(朝鮮)의 마지막 성균관(成均 館) 박사(博士) 출신으로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이며 역사학자인 단재 신채호는 일제 강점기 중국 요녕성 대련에 위치한 여순 감옥에 수감된 채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를 집필하였고, 흩어져 있는 여러 편린 속에서 고구려 조의· 선인에 대한 흔적을 찾을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단재의 주장에 따라 고서(古書)와 고분벽화 속의 근거들을 탐색하고 관련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조의·선인에 대한 추상(抽象)을 시도하게된 목적은 조의·선인을 통해 민족정신의 원형에 접근하기 위함이며, 이것이 현재 한국 민족문화를 이해하는데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 속에서 고구려 조의·선인은 한국 민족정신의 표상이라 할 수 있는화랑도 정신과 선비정신의 전신(前身)이고, 고조선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민족고대신앙인 ‘수두교(蘇塗)’에 그 연원을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 한국 문화와 생활 속에 깊숙이 내재되어 있는 선인(仙人)의 흔적을 고구려 고분벽화인 무용총 접객도에서 새롭게 발견할 수 있으며, 역사 속에 그모습을 온전히 드러내지 않은 조의·선인제도의 특성이 동양철학사 관점에서묵가(墨家)의 그것과 유사함을 시론(試論)하였다. 본 소고(小考)를 통해 조의·선인 제도가 단순히 고구려 시대의 관직명으로만 기억되는 사장된 고대사가 아니라, 현재에도 한국문화 속에 살아 숨 쉬고있음을 확인하고, 한국 민족 고유의 종교와 사상·문화와 철학의 영역으로까지 범주를 확장하여 심오하고 발전적 담론으로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함을피력한다. 이러한 시도와 노력은 궁극적으로 한국 민족정신의 원형에 접근하는 실마리 정보가 될 것이며, 도출된 결과는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바로미터가 될 것이다.

It is important to record history based on facts and grounds in the category of world history and requires complementary cooperation among historians above all else, but efforts to find one's lost history on their own must be accompanied by national pride and a persistent and cold academic conscience to find facts. “Joeui” and “Seonin” are the predecessors of the “Hwarangdo” spirit and “Seonbi” spirit, which can be said to be a symbol of the Korean national spirit, and are based on national religion “Sudu(the ancient belief of the Korean people)”, that dates back to “Gojoseon”. The traces of “Seonin” , which are deeply embedded in Korean culture and life, can be newly confirmed in the ancient tomb mural of the Goguryeo “Muyong-chong”.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onin” system, which are not fully revealed in history, can b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of the “Mohism”.

1. 서론

2. 조의·선인의 연원과 그 의의

3. 고문헌에 나타난 조의·선인

4.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조의선인 추정인물의 추상

5. 조의·선인의 전승경로

6. 조의·선인의 동양철학사적 의의

7.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