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와 융합 제2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사소설의 환유와 지배 이데올로기 - 손창섭의 「봉술랑」을 읽는 방법

Metonymy and dominant ideology in historical novels - How to read Son Chang-seop’s “Bong-Sul-Lang”

DOI : 10.55793/jkhc.2024.21.409
  • 17

손창섭이 쓴 역사소재 소설 중 유일한 장편소설이자 한국 문단에 그의 이름으로 발표한 마지막 소설인 「봉술랑」은 손창섭 소설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손창섭 소설은 피난민의 일상, 남녀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부부, 가족 서사, 역사 소재 소설로 나아가면서 환유의 대상이 점차 확대되었다. 소설의 변모 양상 속에서 변하지 않는 주제 의식은 역사의 풍파에서 살아남아 자기 삶을 정주해 나가는 개인적 삶의 소중함이다. 「봉술랑」의 주인공인 산화가 남성의 은유인 봉(棒)을 무기로 삼아 자신과 가족, 그리고 모든 폭력에서 자신을 지키고 마침내 승리를 거두는 이 서사의 끝은, 남성을 도구로 이용해평안에 이른 산화의 삶으로 귀결된다. 손창섭이 「봉술랑」을 통해 말하고자하는 바는 영웅의 일대기나 성공담이 아닌, 삶의 투쟁 과정에서 개인이 겪은폭력과 폭력 이후의 삶이다. 「봉술랑」은 백도성의 딸 산화와 현감의 아들 김광세가 서로 대립하다 연인이 되는 과정을 큰 서사로 삼는 한편으로, 지배 질서와의 대립으로 핍박받는 일반 백성의 삶과 해방에 주목한다. 「봉술랑」의 배경인 원나라 치하의 고려라는 시공간은 일제강점기와 분단을 차례로 겪은 한국의 근현대사에 밀접한 시공간적 인접성을 지니고 있다는점에서 국가 이데올로기의 폭력성에 관한 일종의 환유(換喩)이다. 이 소설을통해 우리는 권력을 남성적 지배질서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끊임없는 부정과거부를 소설쓰기로 실천해 온 손창섭 소설의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Bong-Sul-Lang”, the only full-length novel written by Son Chang-seop and the last novel published under his name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is significant in the study of Son Chang-seop’s novels. The object of metonymy gradually expanded in Son Chang-seop's novels as they progressed to include the daily lives of refugees, couple and family narratives centered on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and historical novels. The theme that remains unchanged throughout the transformation of his novels lies in the importance of personal life, surviving the storms of history and establishing one's own life. The end of this narrative, in which Sanhwa, the main character of 「Bongsulang」, protects himself, his family, and all violence by using a baton (棒), a metaphor for masculinity, as a weapon, and finally achieves victory, is the end of this narrative in which Sanhwa achieves victory using men as tools. It is a peaceful life. What Son Chang-seop wants to talk about through “Bong-Sul-Lang” is not a hero’s biography or a success story, but the life after violence that an individual gains in the process of struggle. 「Bong-Sul-Lang」 uses as a large narrative the process of Baek Do-seong's daughter Sanhwa and the county governor's son Kim Gwang-se, who are at odds with each other but then become lovers, and focuses on the lives and liberation of ordinary people who are persecuted due to the conflict with the ruling order. The time and space of Goryeo under the Yuan Dynasty, which is the background of “Bong-Sul-Lang” has close spatial and temporal proximity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which sequentially experienced Japanese colonial rule and division. This is a kind of metonym for the violence of national ideology. Through this novel, we can confirm the significance of Son Chang-seop's novel, which recognizes power as a masculine ruling order and practices constant denial and rejection of it through novel writing.

1. 손창섭의 후기소설 경향과 역사소설

2. 피식민 역사와 역사의 환유

3. 여성 영웅과 남성 은유로서의 무기

4. 국가 이데올로기로부터의 탈주 욕망

5. 정주(定住)의 의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