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와 융합 제2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韓·中·日 漢字音 학습연계 활용을 위한 韓·中·日 漢字音의 수용 및 대응양상에 관한 연구 - 中聲母音“ㅗ”와 대응하는 韓·中·日 漢字音의 통합비교분운표 DB 구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eption and response patterns for the utilization of learning linkage of Sino-Korean, Chinese consonants, Sino-Japanese : Based on consolidated comparative the phoneme database construction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Chinese consonants corresponding with theto neutral vowel “ㅗ(o)”

DOI : 10.55793/jkhc.2024.21.551
  • 15

본 연구에서는 現代 韓國漢字音 “ㅗ”와 대응하는 <韓ㆍ中ㆍ日 漢字音 統合比較分韻表>를 攝韻別로 작성하여 韓ㆍ中ㆍ日 漢字音의 音韻體系와 수용 및 대응양상을 분석하였다. 現代 韓國漢字音 “ㅗ”와 대응하는 韓ㆍ中ㆍ日 漢字音 대응양상 유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現代 韓國漢字音 “ㅗ”와 대응하는 現代 中國漢字音은 -u형, -ao형, -iao형, -ou형, -uo형, -e형 順으로, 日本漢字音은 -o형, -ou형, -jou형, -u형, -jo형, -juu형, -au형 順으로 나타난다. 現代 韓國漢字音 “ㅗ”와 대응하는 韓·中·日 漢字音 대응양상은 총 17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는데, ㅗ-u-o 유형(81字)의 대응양상의 비율이 가장 높다. 다음으로 ㅗ-ao-ou 유형(67字), ㅗ-ao-jou 유형(23字), ㅗ-iao-jou 유형(19字), ㅗ-u-u 유형(10字), ㅗ-u-jo 유형(5字) 順으로 대응되었다. 그 외 일부 ㅗ-u-ou/ㅗ-uo-o/ㅗ-ou-u/ㅗ-ao-o 유형(2字),ㅗ-ou-ou/ㅗ-ou-o/ㅗ-ou-juu/ㅗ-ao-au/ㅗ-ao-u/ㅗ-iao-ou/ㅗ-e-o(1字) 유형으로도 대응되었다.

In this study, the phonetic system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Chinese consonants and their reception and response patterns were analyzed corresponding with the neutral vowel “ㅗ(o)”.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reign language learners expect that understanding the phonological system and response patterns of their own country and another will help them learn Korean, Chinese, and Japanese-Chinese consonant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correspondences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Chinese consonants. The modern Korean consonant “ㅗ(o)” responds with -u type, -ao type, -iao type, -uo type, -ou type, and -e type Chinese consonants, and -o type, -ou type, -jou type, -u type, -jo type, -juu type, and -au type Japanese-Chinese consonants. There are 17 types of response patterns that correspond with the Korean consonant “ㅗ(o)”, with the highest ratio being the ㅗ-u-o (81) type to which the Korean consonant “ㅗ(o)”, Chinese consonant “u”, and Japanese-Chinese consonant “o” are matched. Next, it appears in the order of type ㅗ-ao-ou (67), ㅗ-ao-jou (23), ㅗ-iao-jou (19), ㅗ-u-u (10), ㅗ-u-jo (5), ㅗ-u-ou/ㅗ-uo-o/ㅗ-ou-u/ㅗ-ao-o (2), ㅗ-ou-ou/ㅗ-ou-o/ㅗ-ou-juu/ㅗ-ao-au/ㅗ-ao-u/ㅗ-iao-ou/ㅗ-e-o (1).

1. 머리말

2. 韓·中·日 漢字音 攝韻別 分析

3. 現代 韓·中·日 漢字音의 유형별 대응관계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