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이중언어학 제97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어 학습자의 반어적 수사의문문 이해에 대한 실험 화용적 연구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An Experimental Pragmatic Study on Korean Learners’ Comprehension of Ironical Rhetorical Questions: Focusing on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 38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수사의문문의 반어적 의미를 이해하고 응답하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사의문문 가운데 '의문사 + 그렇게' 류 의문문에 초점을 두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 사이에는 수사의문문의 반어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었고 고급 학습자들조차도 반어적 의미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의 이해도는 중급과 고급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한국 거주 기간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학습자들은 수사의문문의 반어적 의미를 부분적으로 이해했으나, 축자적으로 이해하거나 관련성이 떨어지는 의미로 해석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는 잠재적으로 의사소통에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학습자들의 응답은 수사의문문에 대한 이해와 정확히 맞아떨어지지 않았으며, 의사소통 진행에 방해가 되는 사례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문사 + 그렇게’ 류 수사의문문의 습득에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어 수사의문문의 이해 및 응답 양상에 대하여 한국인 화자와 외국인 학습자가 갖는 차이를 보이고 수사의문문의 습득을 위해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증명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study aims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and response patterns of Chinese learnersregarding the ironic meaning of 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focusing on the‘interrogative + geureoke’ typ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nativeKorean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with advanced learners also struggling tofully grasp the irony. While comprehension varied significantly between intermediateand advanced learners, the duration of stay in Korea did not show a significanteffect. Learners often interpreted rhetorical questions literally or irrelevantly,potentially hindering communication. Their responses did not always align with theirunderstanding, causing communication issu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educational support in teaching the ironic use of ‘interrogative + geureoke’ rhetoricalquestions. This study underscores the differences in comprehension and responsebetween native speakers and foreign learners, demonstrating the necessity fortargeted educational interventions.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