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이중언어학 제97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도입국 학생을 위한 한국어 보조교재 개발 사례 연구 - 중등과정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Developing a Korean Language Workbook to Promote History Learning for Immigrant Students in Middle School

  • 80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입국 학생의 역사 영역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중도입국 청소년은 한국어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한국 역사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역사 수업 이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역사 교육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역사 교과서 이해를 돕는 교과 적응 한국어 교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 중심 모형에 따른 수업 진행을 감안한 중등 역사 교육을 위한 교과 적응 한국어 배양을 교재 개발의 목적으로 삼았다. 국가 교육과정에 기반한 교과서 단원 선정, 성취기준에 기반한 단원 학습 목표 설정, 단원 목표와 빈도를 감안한 어휘, 문법, 한자와 같은 학습 요소 선별, 단계적 단원 구성 및 수준별 학습 활동 제작을 구체적인 교재 개발의 원리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도입국 학생들의 역사 교과 적응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propose a new approach for developing a workbook to support the learning ofhistory for immigrant students in middle school. Immigrant students, primarily dueto their limited proficiency in Korean, struggle to comprehend history classes. Toachieve the goals of history education, a new workbook based on the schoolhistory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This study presents the purpose of thenewly developed workbook and suggests its development principles as follows: 1)selecting unit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2) setting learning objectives ofeach unit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3) selecting learning elements(vocabulary, grammar, and Chinese characters) based on unit objectives and theirfrequency in history textbooks, 4) designing units with a gradual increase indifficulty throughout each unit, and 5) differentiating learning activities for variousstudent level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demonstrates a practicalmethod for developing Korean workbooks to help immigrant students learn history.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교재 개발 방안

4. 교재 개발 실제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