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성 판단 능력과 개인차 변인을 살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101명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숙달도 평가와 문법성 판단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학습자의 개인차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복합음운단기기억(Phonemic Short Time Memory, 이하 PSTM), 연속 반응 검사(Serial Reaction Time Test, 이하 SRTT), 단어 쌍 검사(Paired Associates Test, 이하 PAT), LCP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위 등급에서 여전히 부사격 조사, 보조사 ‘은/는’(대조), 과거 회상 선어말어미 ‘-더-’, 명사형 전성어미 ‘-(으)ㅁ/기’, 과거 회상 관형사형 전성어미 ‘-던’, 부사형 연결어미 ‘-아/어서’와 ‘-느라고’, 인용 표현 항목에 대해 어려움을 보였으며, 개별 문법 항목에 따라 개인차 변인의 영향이 조금씩 상이하나, 전반적으로 전문적이고 특수한 상황에서의 언어 활동 시간이 큰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mmatical judgement competenceand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had 101 Koreanlearners perform Mini-TOPIK, GJT, PSTM, SRTT, PAT, and LCP. Mini-TOPIKwas developed to measure proficiency, GJT was used to measure grammaticalityjudgment competence and PSTM, SRTT, PAT and LCP were used to measure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The main findings include: (i) The difficult featureswith low accuracy rates were adverbial particles, the auxiliary particle ‘un/nun’, theretrospective prefinal ending ‘-de-’, the nominalizing ending, the retrospectiveadnominal ‘-deon’, the conjunctive ending ‘-aseo/eoseo’ and ‘-nerago’, andquotation expressions. (ii) The influence of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varieddepending on individual grammatical items.
1. 서론
2. 문법성 판단 능력과 개인차 변인
3. 연구 방법
4. 결과 분석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