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이중언어학 제97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부 과정 유학생을 위한 기계번역 리터러시교육 자료 개발 및 운영 효과

Effectiveness of Machine Translation Literacy Instructional Materials for Academic Korean Language Learners in Undergraduate Courses

  • 68

본 연구는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기계번역 리터러시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계번역 리터러시 수업을 실시한 후 학습자들에게 자율적으로 수업 내용을 적용하여 온라인 번역기를 사용해 보도록 한 결과 수업의 유용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온라인 번역기의 작동 원리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져 전반적으로 번역 결과물의 질이 향상되면서 번역기의 정확성에 대한 인식도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수업이 단 1회에 그쳐 학습자들이 프리 에디팅이나 포스트 에디팅 기술을 충분히 연습하고 익힐 시간이 부족하였고 이에 따라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적용하거나 실천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또 수업 시간에 간단하게 언급하고 지나간 개인 정보 보호 등과 관련된 부분은 수업 이후에도 인식이 향상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기계번역 리터러시를 교육 과정에 포함하여 적용할 때에는 내용을 기준으로 여러 차시로 구분하여 쓰기 과제 수행 과정에서 프리 에디팅 및 포스트 에디팅 기술을 충분히 연습하고 익힐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 교육의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난 영역은 교육 자료를 보완하고 수업에서 더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achine translation literacy training materials tailored for an academic Koreanlanguage course for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and to evaluate theeffectiveness of these materials. After participating in a machine translation literacyclass, learners independently applied the taught content by using an onlinetranslato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lass was positively evaluated for itsusefulness, with learners demonstrat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onlinetranslators operate. This improved their overall translation output quality andheightened their awareness of translation accuracy. However, due to the class beingconducted only once, learners did not have sufficient time to practice and masterpre-editing and post-editing techniques, resulting in difficulties in applying theseskills effectively. Additionally, students’ awareness of privacy-related topics, whichwere briefly mentioned, did not show improv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future curricula should be divided into multiple sessions to allow forcomprehensive practice and mastery of pre-editing and post-editing skills duringwriting tasks. Furthermore, areas with minimal training effectiveness should besupplemented with additional materials and given greater emphasis in class.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