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몽골학 제78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몽골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유성성에 따른 모음 길이 차이의 인식에 있어서 제1언어의 음운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1 Phonological Features on the Perception of Voicing-conditioned Vowel Length Differences in English by Mongolian Learners of English

DOI : 10.17292/kams.2024.78.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를 배우는 몽골인 학습자들이 영어 단어의 어말에 나타나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영어에서는 모음의 길이가 뒤따르는 자음의 유성성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단순한 음향적 특성을 넘어 중요한 음운현상이다. 영어의 유성음은 어말에서 무성음으로 발음되어 유·무성의 대립이 중화되기 때문에, 어말 자음보다는 선행 모음의 길이 차이가 단어 인식에 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몽골어에서는 모음의 길이 차이가 음운적 대립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모음 길이가 몽골어 음운 체계에서 중요한 자질이 된다. 본 연구에서 25명의 몽골인 영어 학습자와 25명의 영어 원어민을 대상으로 두 가지 음성 인식 과제를 실시한 결과, AX-변별 과제에서는 몽골어 학습자들이 영어 원어민과 유사한 성과를 보였으나, 식별 과제에서는 낮은 성과를 보였다. 이는 몽골어 학습자들이 영어에서 유성음에 의해 조건화된 선행 모음의 길이에 대해서 제대로 습득하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실험 결과는 L1의 음운적 특징이 L2의 음소를 구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L2의 정확한 음소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L2의 음운현상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Mongolian learners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can perceive English minimal pairs that shows voicing contrast in word-final positions. In English, the length of the preceding vowel chang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voicing in the following consonant, which is understood as a significant phonological phenomenon in English. Given that voiced sounds become voiceless at the end of words, voicing contrast is neutralized. Therefore,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preceding vowel is a more important perceptual cue than word-final voicing contrast in English. Noticing that Mongolian vowels have a phonemic contrast between short and long vowels, we realize that vowel length is a phonological feature in Mongolian. In terms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can be predicted that Mongolian learners will easily acquire English vowel length difference due to the fact that vowel length is a phonological feature in L1 grammar. In this study, I conducted two types of speech perception tasks with 25 Mongolian participant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25 native speakers of English as a control group: AX-discrimination and identification tasks. In the AX-discrimination task, Mongolian participants performed as well as native English speakers, which seems to support the positive transfer effect of L1 grammar on L2 perception. On the contrary, Mongolian participants showed much poorer performance than English speakers in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word that they listened to from a series of minimal pairs. It can be assumed that Mongolian learners did not learn voicing-conditioned vowel length in English. Crucial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that learners need to understand phonological phenomena in L2 in order to correctly perceive L2 phonemes even though L1 phonological features can be helpful in distinguishing phonetic differences in L2.

1. 서론

2. 영어와 몽골어의 장애음과 모음 길이에 관한 특성

3. 몽골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영어 모음 길이에 대한 음성 실험

4. 논의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