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몽골학 제78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몽골로 시집간 고려 여인들 - 나이 및 출가 형식, 집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Goryeo Women Married to Mongolia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ge, Type of Leaving Home, and Family

DOI : 10.17292/kams.2024.78.147
  • 15

고려 시대 한ㆍ몽 여인 교류는 고려로 시집온 몽골 공주와 몽골로 시집간 고려 여인들로 나누어진다. 본고는 『고려사』등 각종 문헌에 기록된 고려 여인에 관한 86개의 사례, 총 465명에 이르는 고려 여인들의 몽골행을 살펴보았다. 고려 여인들의 몽골행은 몽골이 요구하는 동녀(童女)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 이외에도 군인들의 처, 무당, 기녀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몽골로 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녀(童女)는 13세부터 16세 사이의 양가자제(良家子弟)로 제한되어 있으며, 처녀(處女)나 ‘절대 미색을 지닌 소녀(童女絶美者)’, 고려미인(高麗美人)으로 불린다. 고려의 동녀들은 명문가일수록 처음부터 무언가의 의도로 몽골에 보내져 친가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과 함께 서서히 그들이 대원올로스의 주류세력으로 등장하고 있다. 한 해에 몽골로 보내지는 동녀의 숫자는 평균 40∼50명이며, 그 기간도 1260년 대원올로스 성립부터 1369년 북원이 건국하는 순간까지 이어지고 있다. 고려와 몽골은 후대 대청제국 때 만주와 몽골 간의 귀족 연혼과는 달리 전반적인 연혼 관계가 행해졌다고 보는 편이 더 진상에 가깝다.

Exchanges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women during the Goryeo Dynasty can b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Mongolian princesses who were married to Goryeo and Goryeo women who were married to Mongolia. This study examined 86 documented cases of Goryeo women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Goryeosa(高麗史), and a total of 465 Goryeo women who traveled to Mongolia. Goryeo women's trip to Mongolia is centered on Dongnyeo (童女) requested by Mongolia. Furthermore, it shows that Goryeo women are going to Mongolia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soldiers' wives, shamans, and gisaengs. The term Dongnyeo (童女) specifically refers to girls between the ages of 13 and 16 from prestigious families, and is called as a maiden (處女), a “girl with absolute beauty (童女絶美者),” or a Goryeo beauty (高麗美人). Dongnyeo from Goryeo, the more prestigious, were sent to Mongolia with some intention from the outset, and they gradually emerged as a mainstream force of the Yeke Yuan Ulus, playing a role as a strong support for their families. The average number of Dongnyeo sent to Mongolia each year ranged from 40 to 50, with the period extending from the founding of the Yeke Yuan Ulus in 1260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ern Yuan (北元) in 1369. Unlike the aristocratic marriages between the Manchu and the Mongols during the later Great Qing Empire, it is closer to the truth to see that general marriages were conducted between the Goryeo and the Mongols.

1. 머리말

2. 몽골로 간 고려 여인들의 나이와 출가 형식에 대한 분석

3. 몽골로 간 양가자제(良家子弟) 여인들에 대한 분석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