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몽골학 제78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몽골과 중국 수출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ing Exports and Imports between Mongolia and China

DOI : 10.17292/kams.2024.78.241
  • 9

본 연구는 몽골과 중국 양국 간의 수출입 개선 방안을 위해 주요 영향을 주는 국내총생산, 수출량지수, 수출 단가지수, 수입량지수, 외국인직접투자, 환율 등 변수를 이용하여 최근 2005년부터 2023년까지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분석에서 단위근, 공적분 검정을 실시하고, 벡터자기회귀모형(VAR, Vector Autoregressive Model)을 이용하여 실증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몽골의 수출 증대에 중국의 경제성장과 수입량지수, 중국의 대몽골 투자 및 환율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모형(2)에서 수입량지수, 몽골의 국내총생산, 수입품 단가지수, 환율 등 변수가 결정요인으로 산출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양국 간의 수출입 개선 방안을 위해 중국으로 수출하는 품목을 통해 몽골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크지만, 중국이 몽골에서 수입할 수 있는 품목 수에 대한 다양화 정책이 필요하는 상황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국 간의 수출수입 및 거시 기초 변수를 이용하여 무역 형태를 기초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임을 시사점으로 도출한다.

This study analyzed using time series data from 2005 to 2023, using variables such as gross domestic product, export volume index, export unit price index, import volume index,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exchange rate, which have a major impact on improving imports and exports between Mongolia and China. In the analysis, unit root and cointegration tests were performed, and empirical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 Vector Autoregressive Model (VAR).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China's economic growth and import volume index, China's investment in Mongolia, and the exchange rate positively affected Mongolia's export growth. In model (2), variables such as the import volume index, Mongolia's GDP, import unit index, and exchange rate were calculated as determining factors.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various strategies are needed for Mongolia to reduce its economic dependence on China and build a more balanced and sustainable economic relationship, such as export diversification and diplomatic efforts, to improve exports and imports between the two countries.

1. 서론

2. 몽골의 경제 현황

3. 선행연구 및 분석모형 설정

4. 실증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