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보육교사 개인 변인에 따른 전문성, 교수효능감, 자긍심의 차이와 영향력의 주 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

Differences in Professionalism, Teaching Efficacy, and Self-Esteem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the Variables

  • 87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8권 제3호.jpg

본 연구는 보육교사 개인 변인에 따른 전문성, 교수효능감, 자긍심의 차이를 분석하고, 변인 간의 관계에서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여 그 영향력을 예측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54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른 분석 결과, 전문성과 교수효능감은 담당학급, 연령, 학력, 보육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자긍심은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교수효능감과 자긍심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 효과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교수효능감과 자긍심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전문성과 자긍심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였을 때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자긍심 요인의 상호작용 효과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는 보육 현장에서 교수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전문성과 자긍심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를 시사한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자긍심을 함께 증진하기 위한 정책의 마련과 교육의 지속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rofessionalism, teaching efficacy, and self-esteem bas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predict their influence by analyzing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54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class in charge, age, education, and childcare experience, while self-esteem showed differences based on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rofessionalism, teaching efficacy, and self-esteem of childcare teachers. Third, professionalism, teaching efficacy, and self-esteem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one another. When professionalism and self-esteem were introduc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y had the greatest effect on teaching efficacy. In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eaching effica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efficacy in a childcare environment where various factors interact, both professionalism and self-esteem must be considered together. This stud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continuous education and to inform policies that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self-esteem of childcare teacher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