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디지털교과서 도입과 활용에 관한 중등수학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학습자 맞춤 교육 실현을 위한 과제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AI digital textbooks: Implications and challenges for adaptive learning
- 한국학교수학회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제27권 제3호
- 2024.09
- 417 - 452 (36 pages)
본 연구는 AI 디지털교과서의 도입과 활용에 대한 수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AI 디지털교과서 개발과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23년 11월 전국의 중등 수학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AI 디지털교과서의 도입에 관한 이해도와 필요도, 핵심기능, 수학 수업에 활용, 교사 연수 주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수집·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등 수학교사들은 AI 디지털교과서의도입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핵심기능에 대한 이해와 사용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생 맞춤형 학습을 위한 AI 디지털교과서의 학습진단 및 대시보드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학생 주도의 맞춤형 학습과 정서적 지원에 대한 기대도 드러났다. 그러나 교육 환경의 변화로 인한상호작용성 저하와 수업 준비의 어려움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AI 디지털교과서의 현장 친화적인 도입과 활용을 위해 교사의 인식개선과 실질적인 현장 적용을 지원하는 연수 프로그램 강화, AI 디지털교과서의 기능적 개선 등 체계적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explores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doption and utilization of AI digital mathematics textbooks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both the development of AI digital textbooks and teacher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in November 2023 with 130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o analyze their perceptions regarding (1)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AI digital textbooks, (2) key features, (3) application in mathematics instruction, and (4)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results reveal that whil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y of adopting AI digital textbooks, there is a significant gap in thei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with the core functionalities.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features such as learning diagnostics and dashboard to support adaptive learning, along with expectations for student-centered adaptive learning and emotional support. However, concerns were also raised about decreased interactivity and challenges in lesson preparation due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enhance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deepen teachers’ understanding and support practical implementation, as well as functional improvements to AI digital textbooks to ensure their effective and practical adoption in educational setting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Ⅵ.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