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융합교육연구 제10권 제2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중학교 도덕 교과 목표와 연계한 프로젝트형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The Educational Effects of Project-Typ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ligned with Middle School Moral Curriculum Goals

DOI : 10.69742/cer.2024.10.2.53
  • 46

본 연구는 중학교 도덕 교과 목표와 연계한 프로젝트형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의 수업 만족도 및 융합적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도덕 교과와 국어, 정보, 일반사회, 미술 교과의 융합 수업으로 도덕 지식과 이론을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활동 위주의 수업으로 재구성하였다. 분석결과, 도덕 교과의 수업 만족도 객관식 문항에서는 실험집단에서 5개 항목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고, 대조집단에서는 교육적 효과의 변화가 없었다. 실험집단의 주관식 설문 조사에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프로젝트형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들에 대해 융합적 문제해결력 및 전반적인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형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력과 도덕수업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이 도덕과 수업에 새로운 기여를 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 of project-based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e objectives of middle school moral curriculum, on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nd convrgent poblem-solving skills.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moral knowledge and theory were reorganized into activities-oriented lessons, utilizing various software tools as part of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at combines moral education with Korean language, information technology, social studies, and art subjec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multiple-choice survey assessing class satisf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five items, while no change were detected in the control group. In the subjective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lass satisfaction was also confirmed. Consequently, a positive impact on the convergent problem-solving skills and overall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the project-based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was demonstrated. Through this study, the project-typ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ims to contribute to moral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by employ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enhance students' convergent problem-solving skills and satisfaction with moral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