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고등학교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서비스(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를 활용한 고등학교 지리 수업에서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한국지리 교과의 창의적 통합과 역량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논문에서 다루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SGIS를 활용하기 위한 실용적인 전략을 탐구하고, SGIS 통합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실제 교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GIS의 지리교육 활용 및 수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통계지리정보서비스는 지리수업에서 학생 중심의 활동 기반 수업에 효과적이며 특히 핵심 및 과목별 학생 지식 습득 역량에 효과적인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SGIS를 통한 관련 교과목과의 융합 수업 가능성을 발견하였고, 학생들에 의해 지리공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도 제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 주제와 내용으로는 SGIS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융합 연구, 교사 연수 프로그램 활성화, 2022개정 교육과정 내의 공간 정보 기술 및 디지털 리터러시를 위한 서비스 개발 및 교육 콘텐츠의 추가 탐색 등이 제안된다. 이 연구는 디지털 기반 지리교육 방법론 개발과 디지털 도구 기반의 사회과 교육과 수업의 통합적 접근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research paper investigates the use of the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GIS) within the context of a digital geospatial platform in high school geography classes in Korea. The platform supports creative thinking and competency development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proposes SGIS-integrated teaching modules and evaluates their effectiveness in enhancing geography educat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SGIS serves as a valuable pedagogical tool, promoting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motivation while improving geographical knowledge. The research highlights SGIS's interdisciplinary relevance in visualising geospatial data and its broad applicability in geography instruction. Additionally, it suggests further research on SGIS's role in enhancing teacher competencies and its alignment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s emphasis on digital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Overall,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integration of SGIS into geography classes has been successful and indicates a promising future for incorporating digital tools in social scientific education.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
Ⅳ. Findings
Ⅴ.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