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성공적인 창업교육을 수행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교육목표와 이를실현하기 위한 전략 방향의 차별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우선, 대학 창업교육에서 탁월한 성과를보유한 교수진과 학생 창업가 30명을 대상으로, 창업교육의 성공 요인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들을구조화하고, 교육과정, 교수법,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종합지원 중점형’은 학습자에게 단순한 강의식 수업을 넘어서는 실습, 코칭, 멘토링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 유형은 창업 전 단계에 걸쳐 실질적 지원을 강조하며, 이론과 실습의 균형을 중시하였다. 두 번째 ‘학습자 요구 중점형’은 학습자의 개별적인 요구와 시장의변화를 정확히 파악하여,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유동적이고 탄력적인 커리큘럼을 제공해야 한다고보았다. 이 유형은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통해 역량 강화를 핵심목표로 삼는다. 세 번째‘정서 중점 지원형’은 창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리적 압박감과 불안을 완화하고, 긍정적인창업 마인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정서적 지원을 강조한다. 이 유형은 정서적 안정을 성공적인 창업에필수요인으로 간주하고, 이를 위해 커뮤니티 형성과 멘토링 프로그램의 활용도를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맞춤형 교육 중점’은 학습자의 특성, 관심사, 역량에 기반하여 개별화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유형은 다양성과 개별성을 중시하며, 학습자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지원하는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행을 중요하게 여겼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인식유형별 접근법과맞춤형 창업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교육과정의 구성과 실행에 있어 다양한 요구와 특성을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한다. 동시에, 언급된 네 가지 유형들은 각기 독립적인 가치를 지니면서도 성과 지향적 창업교육의 목표하에 유기적으로 통합될 때 교육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음을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Q 방법론 인식유형은 대학 창업교육의 다양성 확보, 학습자의개인적 역량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창업프로그램 설계에 있어 핵심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utilized the Q methodology to explore stakeholders’ subjective perceptions in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iming to identify effective educational approaches. Thirty university professors and student entrepreneurs were surveyed to classify common perception pattern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uggest improvements in curriculum, methods, necessity, and expected outcomes. The analysis identified four distinct perception types. The first, “Comprehensive Support Orientation,” emphasized the need for inclusive educational programs beyond traditional lectures, integrating practical support like coaching and mentoring across all stages of entrepreneurship while balancing theory and practice. The second type, “Learner-Centric Focus,” stressed the importance of adaptable curricula tailored to individual learner needs and market dynamics to enhance competencies through personalized education. The third type, “Emotion-Centered Support,” highlighted the role of emotional support in easing psychological pressures and cultivating a positive entrepreneurial mindset through community-building and mentorship. Lastly, “Customized Education Emphasis” argued for tailored programs based on learners’ characteristics, interests, and competencies, promoting diversity and maximizing individual potential.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learner-centered perception types and the design of customiz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emphasizing the consideration of diverse demands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