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형사법의 신동향 제8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피의자 진술증거에 관한 입법방향 연구

Research-of Legislative Direction on the Suspect Statement Evidence

  • 40

피의자의 수사상 진술은 임의성, 진정성, 신용성의 측면에서 위험성을 갖고 있으나 피고인의 공판단계 진술에 비해 증거가치가 높다. 피의자의 수사상 진술의 증거 사용을 규율해야 하는 이유는 그 자체의 증거가치가 열등하기 때문이 아니라, 피의자의 수사상 진술의 임의성과 진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피의자의 수사상 진술의 증거 사용을 둘러싼 우리나라의 담론에서는 피의자 수사상 진술의 증거가치가 폄하되어 왔으나 과학적이거나 합리적인 근거를 갖추지 못한 것이다. Damaška 의 유형론에 따를 때, 우리나라의 형사사법체계는 당사자주의적 형사사법체계가 아니라 국가주도형 사법기능과 위계적 사법구조를 갖춘 직권적 형사사법체계 전통에 속한다. 그럼에도 피의자의 수사상 진술의 증거가치를 부정하고 그 증거능력을 지나치게 엄격하게 인정하는 형사소송법과 대법원 판례는 체계모순적이며, 이론적으로나 정책적으로 이해하기가 어렵다. 한편, 피의자신문조서를 수사단계 진술의 존재와 그 임의성, 진정성을 입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마치 조서의 존재 그 자체를 위해서 모든 증거법이 존재하는 것으로 취급하는 것은 실체진실 발견을 위한 형사증거법이 전도된 모습에 가깝다. 형사소송법상 조서에 관한 증거법 규정이 현재와 같이 불투명하고 비합리적인 모습을 갖게 된 것은 구술주의, 직접주의 원칙을 사법비용을 들여서 재판절차의 개혁과 보완을 통해 제대로 하지 않고 안이하게 증거법 일부의 수정을 통해서 달성하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비교법적 검토 및 비판을 토대로 할 때, 피의자 진술증거에 관한 입법방향은 다음 세가지 원칙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첫째, 피의자의 수사상 진술증거의 필요성과 위험성을 균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둘째, 형사사법체계는 정합적이어야 한다. 셋째, 형사재판에서 구술주의 원칙은 관철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사법비용 증가에 대한 입법적 대응이 필요하다. 조서에 집중되어 본말이 전도된 증거법을 정상화하여 직접주의와 구술주의를 최우선 원칙으로 하되, 수사상 진술의 증거사용은 허용되어야 한다. 다만 이때 피의자신문절차는 피의자 진술의 임의성과 진정성이 확실히 보장되도록 엄밀하게 규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가장 잘 달성하는 도구는 진술과정을 영상녹화하도록 의무화하는 것이며, 그 결과 기록된 영상녹화물은 피고인이 법정에서 진술을 번복하는 경우에 본증으로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증거법과 공판운영의 정상화를 위한 전환을 시도함에 있어서는 형사사법체계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suspect's statement in the investigative stage is subject to risks in terms of voluntariness,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but they have a higher probative value than the defendant’s trial statement. The reason to regulate using suspect statements in trial evidence is not because they are inherently inferior in terms of evidentiary value, but to enhance the voluntariness and authenticity of suspect statements. In our traditional discourse surrounding the use of suspect statements in trial evidence, the evidentiary value of suspect statements has been disparaged, but this is not based on a scientific or rational basis. The way in which suspect statements in the investigative stage are regulated depends firstly on the tradition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which is largely categoricalized of two different traditions which are the inquisitorialism and the adversarialism, and secondly on Damaška's typology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criminal justice system.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ny criminal justice system that wholly denies the use of suspect statements as evidence per se. According to Damaška's typology, the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obviously belongs to the tradition of inquisitorial criminal justice which is characterized by state-led judicial functions and hierarchical judicial structure, rather than a party-oriented criminal justice system. Nevertheless, the Korean CriminalProcedureAct and Supreme Courtprecedents that deny the evidentiary value of suspect statements and overly strictly recognize their admissibility are systematically contradictory to its tradition and they are theoretically and policy-wise very difficult to explain. The Supreme Court does not precisely cite nor fundamentally redefine the concepts of hearsay rule and directness pr inciple(unmittelbarkeitsprinzip), but merely declares them impressionistically to regulate the admissibility of out-of-court evidence. Rather than viewing the protocol of suspect interogation as a means of establishing the voluntariness and authenticity of out of court statements, the Supreme Court's position appears to treat it as if it exists for its own sake. This inverted evidentiary approach also creates a number of practical problems in defining and applying the concept of special circumstance of credibility and etc.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olicy rationale for the special treatment of investigator testimony, which is now the only means of introducing the suspect's statement into trial evidence under the revised Code of Criminal Procedure, as it can not be considered to have superior evidencial value in terms of memory accuracy or bias of investigators. The concepts and requirements of our hearsay rule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Anglo-American evidence law, and the concepts of reliability, voluntariness and authenticity are mixed and mingled, making their true nature extremely opaque. The current opaque and irrational state of our evidence rules on protocols of suspect interogation in the Criminal Procedure Code is due to the fact that the principles of oralism and directness have been attempted to be achieved not through the real reform and supplementation of the trial procedure with increased expense and resource of the judiciary, but only by the superficial amendment of the evidence law in an inadequate and inappropriate manner. Based on the above comparative legal review and criticism, the following three principles should guide the legislative direction of suspect statement evidence. First, the need for investigative evidence of suspect statements should be balanced against the risks. Seco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should be consistent, rational, and transparent. Third, the principle of oralism in criminal trials must be upheld, and legislative responses to the rising costs of justice must be addressed.

Ⅰ. 들어가는 글

Ⅱ. 피의자 진술증거의 위험성과 필요성

Ⅲ. 형사사법체계의 비교법적 검토

Ⅳ. 형사소송법상 피의자 진술의 증거능력 배제의 원인과 문제점

Ⅴ. 입법 방향의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