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특성과 팔로워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세대 간 차이분석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and Followership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제8권 제5호
- 2024.09
- 261 - 288 (28 pages)
MZ세대는 2025년까지 국내 노동력의 83%를 차지하여(이재완, 2019) 미래 경제의 주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이슈인 MZ세대의 조직 적응력 저하와 잦은 퇴사 등의 문제가 기업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MZ세대의 독특한 특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이를 이해할 필요가 있지만 그들의 특성을 다룬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는 MZ세대 특성인 자율성, 성취욕구, 일과 삶의 균형을 구성하는 하위 변수인 일-가정 균형 및 일-여가 균형과 팔로워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간의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토하고 세대 구분의 조절효과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기업, 중견·중소기업, 스타트업 등에 근무하는 MZ세대로부터 336개의 유효한 응답을 수집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취욕구, 일-여가 균형, 팔로워십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자율성과 일-가정 균형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일-여가 균형과 팔로워십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자율성, 성취욕구, 일-가정 균형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정에서 성취욕구는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일-여가 균형과 팔로워십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의 영향력 크기는 성취욕구, 팔로워십, 일-여가 균형 순으로 나타났고, 조직몰입은 팔로워십, 일-여가 균형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세대 구분에 따른 조절효과 차이 검정 결과, 일-여가 균형과 팔로워십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Z세대가 이들 요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MZ세대가 조직에 헌신할 수 있도록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협력적 역량을 강화해야 하며, 이들이 추구하는 독특한 특성을 반영한 팔로워십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 조직 내 MZ세대 직장인들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실무적 및 학술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MZ generation is expected to account for 83% of the domestic workforce by 2025(Lee, J. W., 2019) and will play a key role in the future economy. Recently, issues such as the declining organizational adaptability of the MZ generation and frequent resignations have negatively impacted corporate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autonomy, needs for achievement, Work-Life Balance(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follow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MZ generation, and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se factor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moderating effects between generations. Data was collected from 336 MZ generation employees nationwide, an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needs for achievement, work-leisure balance, and followership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while autonomy and work-family balance did not . Second, work-leisure balance and followership ha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autonomy, needs for achievement, and work-family balance did not. Thir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ediation test showed that needs for achievement had a full mediating effect. Work-leisure balance and followership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Fourth,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was greatest for needs for achievement, followed by followership and work-leisure balance, whil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greatest for followership, followed by work-leisure balance. Fifth, the test of moderating effect differences based on generational classification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work-leisure balance and followership were significant, with Generation Z showing a higher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emphasize the need for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and strengthen collaboration capabilities to engage the MZ generation whithin the organizations, as well as the need for followership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measures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Z generation employees, there by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