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의문소사 Неужели와 Разве의 의미기능의 유사성과 변별성을 고찰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두 소사의 의미구조의 특징을 유사성의 큰 틀에서 조명하고 의미적 차이를 부가적으로 다루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소사가 화자의 명제에 대한 태도 및 화용적 요소를 비명시적으로 함축하는 까닭에 두 소사의 의미적 차이를 이분법적으로 설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고에서는 각각의 소사가 맥락에서 수행하는 의미적 변별성과 유사성을 다양한 문체의 텍스트에서 충분한 맥락이 제시된 용례와 최소의 맥락이 제시된 용례를 비교하여 분석하고 유의미한 의미기능을 고찰하였다. «Разве P?» 구문은 해당상황(S)이나 전술명제(P)에 대한 화자의 논증적 반박의 표지로서, «Неужели P?»는 놀랍고 의심스런 명제(P)를 일부 수용함으로써 좀더 담화의 지속을 지향하는 반응 표지로서 기능한다. 그 외에도 소사가 갖는 양상적 의미의 중첩성과 다의성으로 인해 표층구조에서는 유사한 의미구조로 보이지만 두 의문소사는 상호교체가 불가능한 문체적 맥락의존적 의미를 갖는데, 이들 소사들이 지닌 화용적 측면의 특징적인 양상들을 토대로 다양한 의미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 interrogative particles ‘Неужели’ and ‘Разве’. Although existing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features of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two interrogatives in the framework of their similarities and have additionally addressed their semantic differences,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terrogatives in a dichotomous way because the interrogative usually implies the speaker's attitude towards the proposition.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 the semantic distinctiveness and similarity of each pronominal case in context by comparing fully contextualized and minimally contextualized cases in texts of different stylistic varieties and examine their semantic functions. The construction of “Разве P?” functions as a marker of a speaker's argumentative refutation of a circumstantial or tactical proposition, while “Неужели P?” functions as a response marker that aims at further discourse continuation by partially accepting a surprising and doubtful proposition. In addition, due to the overlap and multiplicity of their modal meanings, the two interrogative predicates have various stylistic context-dependent meanings that are not interchangeable, even though they appear to have similar semantic structures on the surface.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전술명제 부정의 반박표지 VS 전술명제 수용의 반응표지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