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러시아유라시아연구 제11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A Cognitive Approach: Informational Status of Boundaries and Non-Boundaries in Russian Word Order

어순은 러시아 어학에서 꾸준한 관심을 받았던 주제 중 하나이다. 형태적 격표지를 가지는 슬라브어 중 하나인 러시아어는 자유로운 어순을 가진다. 러시아어의 어순은 형태적 격표지로 인해 영어와 달리 문법 성분을 표지해야 한다는 부담이 없으며, 대신 화용적 기능에 봉사한다. 선행연구들은 러시아어에서 문장의 구성 요소들이 어순에 의해 ‘화제-초점’의 순서에 맞게 배열된다고 기술한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에 더해 실제 러시아어 어순 기술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간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 접근법은 러시아어 어순에 대한 기능적·인지적 접근법을 포함한다. 본 논문은 Prince(1981)의 세분화된 정보 위상을 활용한 러시아어 어순 분석을 통해 러시아어 어순에서의 정보 위상이 비단조적으로 분포한다고 주장한다. 처음과 끝에 현저성을 부여하는 인간 인지로 인해 문장의 양 끝에는 비교적 정보가치가 높은 요소들이 배치되고, 문장의 중간부로 갈수록 정보가치가 낮은 요소들이 배치된다. 이 주장은 러시아어의 자유로운 어순이 문장의 선형구조 내 정보 위상의 단조적인 증가를 반영하도록 구현된다는 기존 연구들의 가정을 보완한다. 필자는 러시아어 어순의 면밀한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들의 홍수 속 실제 언어 현상에 가장 가까운 기술과 분석을 향해 나아가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problem of word order has been one of the longstanding topics in Russian linguistics. With a rich case marking system, Russian has relatively free word order compared to English. The seemingly free word order, however, is not unfettered but is constrained on the level of discourse-functional pragmatics. In addition to summarizing previous studies, I will argue that information in linearization structure exhibits a non-monotonic flow of value in Russian. I focused on the relative cognitive salience of sentence peripheries and how they overshadow the middle of a sentence. This approach complements previous research that captures the monotonic increase of information value in the linear order. I aimed to analyze Russian word order on both hearer-oriented auditory and speaker-oriented praxis levels.

Ⅰ. Introduction

Ⅱ. Previous studies

Ⅲ. Demystifying the integrity of theme and rheme

Ⅳ. Conclusion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