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러시아유라시아연구 제11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러시아어 SJA 동사구문 논항구조와 사건 구조 연구: 비대격동사구문과 SJA 동사구문을 중심으로

On Argument Structures and Event Structures of Russian SJA Verb Constructions: Unaccusative Verb Constructions and SJA Verb Constructions

재귀 동사(reflexive verb)로 불리는 러시아어 SJA 동사는 기저 동사에 후치접미사(postfix) -sja/s'를 첨가함으로써 다양한 의미와 논항 실현을 보인다. SJA 동사를 다룬 선행 연구들에서는 타동사를 기저 동사로 취하는 경우를 주로 다루고 자동사를 기저 동사로 삼는 SJA 동사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자동사 가운데 비대격 동사와 그에서 파생된 SJA 동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사건 구조에서 후치접미사 SJA가 첨가되는 조건과 SJA의 기능을 살펴본다. Levin and Rappaport Hovav(1995, 2005)와 Rappaport Hovav and Levin(1998, 2001)이 제안한 연결 이론(linking theory)인 ‘사건의 복합성’(event complexity) 이론을 바탕으로 기저 동사가 타동사인 SJA 동사구문을 분석했을 때, SJA는 기저 동사가 표상하는 사건이 복합 구조인 경우 추가되며 전체 사건 가운데 하나의 하위 사건(sub-event)를 제거하거나 어휘적 결속을 막는 기능을 한다. 한편, 기저 동사가 비대격 동사인 경우에는 SJA의 기능은 동일하지만, 기저 동사가 복합 사건을 표상한다는 조건 외에도, 의미적 차원의 조건들이 덧붙는다. 먼저 동사의 어휘 의미에 따라 SJA의 허용도는 달라진다. 그리하여 시각적 자극, 색채를 뜻하는 기저 동사 경우 SJA 허용도가 높은 데 반해 후각이나 청각적 자극, 처소나 상태 변화를 뜻하는 기저 동사인 경우 SJA 첨가가 어렵다. 또한 허용되는 주어가 지닌 성질에 따라 SJA 첨가가 제한되기도 한다. 주어가 근원으로 인지되지 않는 개체인 경우 SJA는 허용되지 않는다.

In Russian, verbs with postfix -sja/s’(below, SJA verbs), known as reflexive verbs, demonstrate diverse meanings and argument realizations. Previous studies on SJA verbs have predominantly focused on those derived from transitive verbs, with little attention given to SJA verbs derived from intransitive base verbs. This paper specifically investigates particularly unaccusative verbs, intransitive verbs, and SJA verbs derived from them and examines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postfix SJA is added and its functions within event structures. Based on the ‘Event Complexity’ theory, Linking Theory proposed by Levin and Rappaport Hovav(1995, 2005) and Rappaport Hovav and Levin(1998, 2001), we analyze the SJA verb constructions derived from transitive verbs as base verbs firstly. Here, SJA is added when the event represented by the base verb has a complex structure, and serves to eliminate a sub-event or prevent lexical bind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se verb is unaccusative verbs, SJA functions consistently, but additional semantic conditions are required. Acceptability of SJA varies depending on the lexical meaning of the verbs; verbs denoting visual stimuli or color terms tend to have a higher acceptability for SJA addition, whereas it is more challenging to add SJA to unaccusative verbs signifying olfactory or auditory stimuli, or changes in location or state.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lso restrict the addition of SJA; if the subject is not perceived as a source, SJA is not allowed.

Ⅰ. 서론

Ⅱ. 사건의 복합성 이론

Ⅲ. 타동구문의 사건 구조에서 SJA

Ⅳ. 비대격동사구문와 SJA 동사구문의 사건 구조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