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상정보연구 제26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아세안의 역내 교역 및 생산 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Intra-ASEAN Trade and Production Network

DOI : 10.15798/kaici.2024.26.3.55
  • 25

경제 안보 확보를 위한 공급망 다변화가 주요 정책 과제인 최근 통상환경에서 아세안은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한국의 핵심 파트너라 할 수 있다. 아세안 경제공동체가 계획대로 하나의 시장·생산기지 건설에 성공한다면 향후 아세안은 경제적 다변화에 있어 주요 파트너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세안 경제통합이 역내 교역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아세안 국가 간 GVC 생산 연계를 분석하여, 아세안 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경제통합 정도를 점검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들이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아세안의 AFTA, ATGIA 혹은 아세안+1의 양자 FTA 각각이 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ATGIA와 아세안+1의 양자 FTA를 고려한 실증 분석을 시행하였다. 아울러 부가가치 교역액을 활용한 GVC 분석을 통해 아세안 역내·외 교역구조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In the current trade environment, which emphasizes diversifying supply chains for securing economic security, ASEAN emerges as a key partner for Korea in supply chain diversification. Although individual ASEAN countries may not be attractive markets, but if ASEAN successfully builds a single market and production base as planned, ASEAN is expected to become a major partner in economic divers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ASEAN economic integration on intra-regional trade, and examines the degree of economic integration occurring within ASEAN by analyzing the GVC production linkages among ASEAN countrie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used the gravity model to analyze the effects of ASEAN’s AFTA, ATGIA, or ASEAN+1 bilateral FTAs on trade separately,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considering both ATGIA and ASEAN+1 bilateral FTAs. Additionally, through GVC analysis utilizing the value-added trade data, this study examines both intra and extra ASEAN trade structures, and provides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findings.

Ⅰ. 서론

Ⅱ. 아세안 결제공동체의 개요

Ⅲ. 아세안의 경제통합이 교역에 미치는 영향

Ⅳ. 아세안 생산 네트워크 현황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