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출제조기업의 친환경 프로세스 혁신이 공급체인 거래공정성 및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ISO 인증 획득기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Green Process Innovation of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on Supply Chain Transaction Fairness and Export Competitiveness
점차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수출제조기업은 친환경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공급체인 교섭력을 높이고 전 거래 공정에 있어 투명한 거래를 보장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른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수출제조기업의 친환경 프로세스 혁신이 공급체인 거래공정성 및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더불어 ISO 인증 획득기간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고는 선행연구와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설문지를 설계하여 ISO 인증 획득 수출제조기업에 배부하였으며, 표본의 객관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탄소융합산업연구조합, 한국무역협회, 전문무역상사 등 회원 리스트를 활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24년 5월 10일부터 7월 10일까지 2개월간 온라인 대면, 오프라인 E-mail, 전화, Fax 방식을 통하여 1,200부를 배포하였으며 설문 회수 부수는 223부(회수율: 18.6%)로 불성실한 부수를 제외한 총 208부의 최종 설문지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첫째, 친환경 프로세스 혁신은 수출경쟁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친환경 프로세스 혁신은 공급체인 거래공정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공급체인 거래공정성은 수출경쟁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ISO 인증 획득기간은 친환경 프로세스 혁신이 공급체인 거래공정성을 거쳐 수출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간 유의한 정(+)의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our paper is to analyze how the innovation of the green process of Korean export manufacturing companies affects the supply chain transaction fairness and export competitiveness, and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ISO certification acquisition period. Our study designed a questionnaire through current research and in-depth expert interviews and distributed it to export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obtained ISO certification, and used a list of members such as the Carbon Convergence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and professional trading companies to secure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sample. Based on this, 1,200 copies were distributed through face-to-face, E-mail, and fax methods for two months from May 10 to July 10, 2024, and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collected was 223 copies (recovery rate: 18.6%),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final questionnaire of a total of 208 copies excluding the number of unfaithful respons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een process innov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xport competitiveness. Second, Green process innov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transaction fairness of the supply chain. Third, the transaction fairness of the supply chai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xport competitiveness. Fourth, the ISO certification acquisition perio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channels through which Green process innovation affects export competitiveness through transaction fairness of the supply chai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론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