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차문화산업학 제65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녹차 가공 과자류의 제품명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 Name of Green Tea Processed Confectionery

  • 22

본 연구의 목적은 녹차를 가공한 과자류의 제품명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제품명의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2024년 6월 1일부터 6월 16일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처 사이트의 가공식품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제품명에 ‘녹차(그린티)’가 포함된 과자류 427개 품목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자류 제품명의 구조적 특성으로는 한자어+외래어의 강세, 신조어나 고유어의 결합, 외래어 표현에 있어 개선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과자류 제품명의 의미적 특성은 외국형 구움 과자의 약진, 다각화된 과자 재료의 활용, 고단백과 비건 과자의 부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차 가공 과자류 제품은 다른 일반 제품들에 비해 건강한 이미지를 구축하여 제품명이 소비자들의 선택에 결정적인 정보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신중한 검토로 네이밍 되어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duct name of the green tea processed confectionery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ose names, thereby providing insights necessary for developing such product nam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427 confectionery items with product names containing ‘green tea’ by searching the processed food database on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website from June 1 to June 16, 2024. The main research findings from the collected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nfectionery product names included the prevalence of combinations of Sino-Korean words and loanwords, the use of neologisms or native words,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in foreign language expressions. Secon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names revealed the rise of foreign-style baked goods, the application of diversified confectionery ingredients, and the emergence of high-protein and vegan confectionery. In conclusion, green tea processed confectionery products should be named carefully compared to other products, as their names play a crucial role in conveying a healthy image and influencing consumer choice.

Ⅰ. 서론

Ⅱ. 국내 과자류의 시장 현황 및 제품 네이밍

Ⅲ. 녹차를 가공한 과자류의 제품명 분석

Ⅳ. 녹차 가공 과자류에 반영되는 제품명의 특성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