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기반의 창업교육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 사례 연구 : T대학 「로컬콘텐츠 중점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Local-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Curriculum and Subject Development: Focusing on the case of D-University “Local Content Focus University”
- 단국대학교 글로벌벤처전략연구소
- Entrepreneurship&ESG 연구
- 제4권 제3호
- 2024.09
- 65 - 82 (18 pages)
최근 지역사회 균형발전을 위해 로컬기반의 다양한 창업교육 및 지원프로그램의 적극적 도입과 활성화를 통해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청년 창업가를 육성하고자하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혁신체계에 대한 선행연구 및 국내·외 선진사례, 지자체 창업지원정책 등을 검토한 결과 등을 기반으로 지역 대학에서 운영하고자 하는 창업기반의 로컬 콘텐츠 중점대학 사례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역 창업 장애요인과 창업 이후 애로사항을 상쇄시킬 수 있는 교과목의 운영이 요구되며,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을 위한 관련 교과목과 창업시장 트렌드 분석에 관한 교과목 운영이 개설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정부 및 지자체의 창업 관련 지원 정책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하며, 창업 준비자들이 해당 정책을 통해 지원받을 수 있도록 멘토링 등의 실무교육도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향후 교육대상자의 미래 역할의 정체성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사회, 문화, 인프라 등의 자원을 사업화하는 영역을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지역혁신체계 하에서 로컬기반의 창업교육 선도모델 및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확대해 가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efforts to foster young entrepreneurs who can settle in the region are expanding through the active introduction and activation of various loc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for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examples and implications of startup-based local content-focused universities that local universities plan to operate,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domestic and international advanced cases, and the results of reviewing local government startup support policies. . As a result of the study, looking at local industrial trends, it is necessary to operate courses that can offset the obstacles to starting a business and difficulties after starting a business, and there is a need to open related courses for nurturing local creators and courses on analyzing startup market trends.In addition, more attention is needed o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related to start-ups, and practical training such as mentoring should be supplemented so that those preparing to start a business can receive support through the relevant polici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clarify the identity of future roles of those receiving training, and the areas of commercializing resources such as community, culture, and infrastructure should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expanding local-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leading models and curricular and non-curricular programs under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the futur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국내·외 사례
Ⅲ. 로컬 기반의 창업교육 선도모델
Ⅳ.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