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리더십연구 제15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유리더십이 팀의 성과 및 전투사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팀 동일시의 매개효과,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 육군 부사관을 대상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Team Identification, Job Calling and Team Performance, Team Fighting Morale: Focused ROK Army of Noncommissioned Officer

DOI : 10.22243/tklq.2024.15.3.41
  • 35

본 연구는 부사관들을 대상으로 공유리더십이 팀의 성과(자기평가, 외부평가) 및 전투사기에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이들 변수와의 관계에서 팀 동일시의 매개효과,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도 살펴보았다. 팀 성과는 자기평가와 외부평가로 구분하였다. 연구목적의 규명을 위해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연구가설 검증은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설문은 육군부사관학교에 입교한 양성과정 후보생과 초급과정 교육생 1,164명, 172개 팀(분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일방법편의 문제의 해결을 위해 입교후 2주 정도 지난 시점에서 공유리더십, 팀 동일시, 직업소명의식을 측정하였다. 또한 12주 또는25주차 훈련 퇴교시점에서 팀 성과(자기평가, 외부평가), 팀 전투사기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팀 수준 분석으로 개인수준을 팀 수준으로 분석하기 위해 rwg와 ICC(1), ICC(2)를 점검하였다. 실증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공유리더십은 팀 성과(자기평가) 및 팀 전투사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팀 성과(외부평가)에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공유리더십은 팀 동일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팀 동일시는 공유리더십과팀 성과(자기평가, 외부평가) 및 팀 전투사기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소명의식은 공유리더십과 팀 동일시와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유리더십과 팀 성과(자기평가, 외부평가) 및 팀 전투사기와의 관계에서 직업소명의식으로 조절된 팀동일시의 매개효과인 조건부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직업군인인 부사관들에 공유5)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공유리더십이 팀의 성과 뿐만 아니라 전투사기의 주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팀 동일시가 매개한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자신과 팀을 동일시 해야만 공유리더십이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한편 부사관들에게도 직업군인으로서 자신의 직업에 대하여 소명의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of purpose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self-evaluation, external evaluation) and team combat morale among noncommissioned officer.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identific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variables. Team performance was divided into self-evaluation and external evaluation. The research hypotheses of direct effect, mediate effect, moderate effect, and moderated mediate effect were set to clarify the research purpose, and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1,164 cadets and entry-level trainees, 172 teams(squads), who were enrolled in the noncommissioned officer academy, and measured shared leadership, team identification, and job calling at the time of enrollment. Measured team performance (self-evaluation, external evaluation) and team combat morale at the time of exit because of to solve the common method bias. This study was analyzed at the team level, and the rwg, ICC(1), and ICC(2) were checked to analyze the aggregation of individual to the team lev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hared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 performance(self-evaluation) and team combat morale, but not on team performance(external evaluation). Second, shared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 identification. Third, team identific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self-evaluation, external evaluation), team combat morale. Fourth, job calling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identification. Finally, there was a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hich is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identification are moderated by job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self-evaluation, external evaluation) and team combat morale. This research of implication is that it confirms that shared leadership is a necessary leadership style for professional soldiers and shows that shared leadership are critical antecedent of team performance as well as team combat morale. Also we shows that team identific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suggesting that shared leadership can only lead to positive outcomes if one identifies with the team. Finall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having a job calling to one's job as a professional soldier.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