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새국어교육 140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 밖 국어교육을 통해 본 학습자 다양성 - 고교 전환학년 교육기관 오디세이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Learner Diversity through Extracurricular Korean Language Education

DOI : 10.15734/koed..140.202409.41
  • 33

목적: 이 연구는 학습자 다양성을 파악하려는 관심 아래 학교 밖 국어교육에서 나타난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 이들의 학습 경험에 따른 성취의 요인을 고찰했다. 방법: 대안적 교육 기관인 오디세이학교를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입학지원서, 배움돌아보기, 학습자가 쓴 책의 기록, 오디세이학교 수료자들과 교사들의 경험을 기록한 책을 분석하고, 두 명의 길잡이교사와 국어 수업을 담당한 두 명의 교사를 인터뷰하여 내용을 분석했다. 결과: 오디세이학교의 학습자들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곳을 선택했고 성적으로 동기화되지 않으며, 대화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있다. 이들은 수업에서 능동적으로 활동하며 수업 자체의 성취를 통해 동기를 부여받고 정의적 영역에서 뚜렷한 성과를 보여 주었다. 수업에서 구체적인 피드백을 받으며 대화의 문화 속에서 취향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기회를 경험한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교실 내 학습자의 요구와 성향, 능력은 항상 다양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들의 목소리를 살리는 교육을 하려는 것이 학습자 다양성에 대한 대안적 관점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s learner diversity in out-of-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needs, and achievement factors of students at Odyssey School, which offers alternative education. Method: The research focuses on Odyssey School’s students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It involves analyzing students' application forms, learning plans, reflections, and written book records. Additionally, interviews with two guide teachers and two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conducted. Results: Students at Odyssey School choose to attend to address various personal issues, are not motivated by grades, and embrace a culture of dialogue. They actively engage in class activities, gain motivation from class achievements, and show significant progress in the affective domain. They receive specific feedback and have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preferences within a dialogue-centered environment. Conclusion: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diverse learner needs and abilities and suggests that an educational approach should amplify students' voices, offering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learner diversity.

1. 서론

2. 전환학년과정 오디세이학교를 선택하는 학습자들

3. 오디세이학교의 국어교육과 학습자의 경험

4. 학습자 다양성에 대한 대안적 관점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