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새국어교육 140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디지털 글쓰기 과정의 유형화: 베이지안 망 기반 유형 분석 적용

Classifying Types of Digital Writing Processes - Applying Bayesian Network-Based Profiling Analysis

DOI : 10.15734/koed..140.202409.71
  • 27

목적: 이 연구는 쓰기 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을 기반으로 디지털 글쓰기 과정의 유형을 탐색하고 글쓰기 수행에 유형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105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여 논증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글쓰기 과정의 키스트로크 로깅 및 설문 조사 자료를 제출하였다. 선별된 변수들을 대상으로 베이지안 망 데이터마이닝 기반 잠재 유형 분석을 통해 유형화를 실시한 후, 다변량 분산 분석을 통해 글쓰기 수행에서 유형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휴지와 수정 관련 쓰기 과정 행위들, 쓰기 신념, 쓰기 불안 등의 변수들로부터 “무난하게 쓰면서 적게 고치는 필자”, “주저하며 많이 쓰는 필자”, “불안 속에 돌아보지 않고 빨리 해치우는 필자”, “느긋하게 고민하며 많이 쓰고 많이 고치는 필자”의 네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간 차이는 결과물 점수에서 나타나지 않았지만, 글쓰기 경험에 대한 인식에서 나타났다. 결론: 각 유형의 특징 및 유형 간 차이에 대해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Purpose: Despite the demand for personalized learning, there have not been many educational attempts to reflect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students. One way to consider individual differences in teaching and learning is finding their patter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ypes of digital writing processes based on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the writing proces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writing performance between these types. Methods: A total of 105 university students wrote an argumentative essay and provided keystroke logging data and questionnaire about their awareness and some affective traits. After conducting latent profile analysis on selected variables, M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writing performance among the types. Results: Four profiles were identified based on variables such as pauses and revision-related actions, writing belief, and writing apprehension: ‘Writers who write smoothly with few revisions’, ‘Writers who hesitate but write a lot’, ‘Writers who rush through due to anxiety’, and ‘Writers who ponder leisurely, write a lot, and revise a lot’. Conclusion: While differences between writer’s profiles were not observed in the four analytic scores of the written products, they were noted in the perceptions of the writing experience. The features of each profil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discussed.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