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새국어교육 140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약성가(藥性歌)와 도설(圖說)을 통해 본 중세 의학지식의 보급과 교육적 의의

The Dissemination of Medieval Medical Knowledge and it’s Educational Meaning in YakSeongGa and Pictures

DOI : 10.15734/koed..140.202409.433
  • 168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약성가와 의학 도설을 중심으로 중세 한국의 의학 지식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동반 성장한 문학과 시각 자료의 존재 양상을 종합하여 살펴보고 그 가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고려 시대의 <향약구급방>과 <연라자도>를 필두로 향약과 도교의 양생술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는 가운데 조선 후기까지 역사적인 추이에 따라 어떤 주요 작품이 탄생했고 어떤 발전상을 보였는지 정리한 후 그 의미를 분석했다. 결과: 고려 시대의 문제의식을 이어받아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온 조선의 의학은 의서를 꾸준히 출간하면서도 전기에는 지방 의학에 관심을 기울이는 가운데 이문건의 <묵재일기>가 선을 보였으며, 후기에는 <동의보감>이라는 상징적인 의서로 집대성되었다. 그리고 <제중신편> 이후 약성가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의학을 교육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냈다. 그리고 <수궁가>를 비롯한 판소리와 탈춤 등에서도 의학 사설이 등장하여 관련 지식이 백성들에게까지 전파된 교육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인체도의 발전상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한국 중세 의학은 중국 한의학과 우리의 향약을 동시에 염두에 두면서 철학, 과학, 문학, 미술을 망라하며 종합적 발전을 꾀했으며 그 결과는 대중의 교육에 이르기까지 두루 미치게 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features of literature and pictures focusing on the YakSeongGa and medical illustration during the Middle Ages in Korea.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paper try to find out the historical achievements among the medical works from the HyangyakGugeubbang and Yanluozis fugures in Goryeo Dynasty to many references, and try to analyze their features while the concerning about both of Korean original medicine and Taoist nurturing life was continued. Result: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medicine of Joseon dynasty which was succeeded to the Goryeo’s showed the consistent progress. In the former period, they started to develop the local medicine and finally symbolic medical book Donguibogam was published in 17 Century. After the 18 Century YakSeongGa was appeared in oral literature like SuGungGa. And the medical body illustration was also supplied at the same time. Conclusion: Synthetic development of Korean medieval medical knowledge got result with educational attainments.

1. 서론

2. 의학 관련 저술과 도설의 시대별 양상

3. 의학 지식의 대중화와 교육적 함의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