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원지역 고구려 석실봉토분의 고고학적 의미

The Archaeological Meaning of Koguryo stone-chambered tombs in Jungwon Region

  • 4

중원지역이 고구려에 점유되었음은 <충주고구려비>와 『삼국사기』, 그리고 발굴조사로 드러난 고구려 성곽에 의해 확인되었다. 고구려 고분은 성곽보다 알려진 자료가 많지 않지만, 재점유된 성곽과는 달리 고구려 주민이 남긴 당대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글에서는 고분이 급격한 변화보다는 전통을 지키려는 보수적 경향이 강하다는 고고학적 전제에서 중원지역의 고구려 석실분을 살펴보았다. 살피고자 하는 대상은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에 걸쳐 조성된 북한강과 남한강 유역 및 경기도 남부 내륙지역의 석실분 가운데에서 고구려식으로 축조되었거나 고구려 양식 토기가 부장된 고분이다. 석실은 하나의 건축물이라는 전제에서 분석은 석실의 축조방식과 구조에 초점을 두었다. 그 결과 중원지역의 석실의 구조와 축조방식은 고구려식 또는 중원식이라고 할 수 있는 현지화된 고구려식 그리고 양자가 혼용되기도 하였으며, 선행묘제나 백제식 축조방식이 선택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축조방식과 고구려 양식 토기의 부장 여부를 기준으로 중원지역 고구려 석실분의 유형을 설정하였다. 중원지역의 고구려 석실분 유형각각은 중원지역 고구려 주민 계통과 남하 경로 및 시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 그 고고학적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중원지역의 고구려 석실분의 주민은 고구려와 직, 간접 계보 가지거나, 맥계 또는 백제계 주민으로 구성되었다. 중원지역으로 진출은 북한강 유역에서 남한강으로 이어지는 경로와 한성으로부터 경기도 남부 내륙으로 이어지는 두 갈래를 경유하였고, 북한강 유역으로 진출은 늦어도 5세기 전반경에, 경기도 남부 내륙으로 진출은 한성 공략 이후에 이루어졌을 것이다.

There are not enough archaeological data to interpret it in connection with Koguryo residents in the Jungwon region. Bu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Jungwon region was occupied by Koguryo through <Chungju Koguryo Monument> and the SamgukSagi. Therefore, in this paper, the archarological meaning of Koguryo stone chambered tomb in the Jungwon region is to be considered. The tombs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are stone chamber tombs built in the Koguryo style or where Koguryo-style earthenware was buried in the Bukhangang and Namhan River basins and the inland area in southern Gyeonggi-do, built between the end of the 5th and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It will be analyzed that tombs are evidence of the lives of the people of Koguryo, and analyzed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a strong conservative tendency to preserve the tradition. As a result, stone chambered tombs in the Jungwon region were constructed with in the Koguryo style, the Jungwon style, or the Koguryo and the Jungwon style together, or the non-Koguryo style was also used. Based on Koguryo-style earthenware and tomb construction methods, Koguryeo stone chamber tombs in Jungwon religion are subdivided into nine types. And each type of tomb in the Jungwon region can be given archaeological meaning in that it provides clues about the composition of residents, the route to the south of Koguryo, and the timing of their advance into the Jungwon region.

Ⅰ. 머리말

Ⅱ. 고구려 고분 판단의 고고학적 근거

Ⅲ. 중원지역 고구려 석실분의 고고학적 의미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