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성제의 획기적인 변화를 초래한 요인 중 하나가 화약무기의 도입이다.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의 전술에 읍성을 중심으로 하는 방어시설의 문제점이 드러났으며, 이후 조선은 기존 방어시설을보완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 무렵 조선의 성제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이 명나라를 통해 소개된 『기효신서』이다. 이 책의 영향을 받아 조선에서는 다양한 성제 이론이 제시되었다. 또한 18세기에 이르면 중국의 병서인 『무비지』가 도입되고, 조선에서는 이를토대로 성제 이론서인 『성제고』가 편찬된다. 이처럼 조선후기 성제이론은 오랜 기간에 걸쳐 축적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는 조선후기 성제 이론의 상호 비교에 집중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또한최근 많은 발굴조사 성과가 축적되어 성제 이론과 축조기술과의 관련 성도 규명할 필요가 있다. 『기효신서』의 성제는 화약무기에 대응하여 성벽을 견고히 하기 위한 규격을 제시하고, 총과 화살로 무장한 적에 대응하기 위해 타의규격과 형태를 고안하였으며, 치성·옹성·현안 등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였다. 조선에서는 이러한 제도를 실정에 맞게 적용하였는데 여장의방어력을 강화하고 포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또한 이시발은 「수성조약」에서 중국의 성제 이론을 폭넓게 수용하면서 성의 규모와 여장의 규격을 설정하고, 현안혈과 오성지, 성랑 등방어시설의 도입을 주장하였다. 또한 유형원은 『반계수록』에서 이전의 성제와 함께 일본의 축조기술의 도입을 주장하였고, 상세한 축성법을 제시하였다. 이후 18세기에는 『무비지』가 도입되었고, 조선에서는 성제 이론서인 『성제고』의 편찬이 이루어졌으며, 많은 이론이 수원 화성의 축성에 반영되었다. 이처럼 조선후기의 성제는 중국 성제를 도입하면서도 우리의 실정에 맞는 이론들이 제시되었고, 오랜 기간에 걸쳐 계승·발전해갔다. 그리고 당시의 이론들은 실제 축성에 적용되어 조선후기 성곽 축조기술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The introduction of gunpowder weapons is one of the factors that led to the drastic change in the fortification syst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military's tactics, armed with Musket, revealed the problem of defense facilities centered on town fortress, and after that, Joseon faced the task of supplementing the existing defense facilities. Around this time, it was 『GihyoSinseo』 introduced through the Ming Dynasty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Joseon's fortification system. Under the influence of this book, various fortification system were presented in Joseon, and by the 18th century, 『Mubiji』 was introduced, and 『Seongjego』, a book of fortification system, was compiled. So, the theory of fortification syst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ccumul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However, the research so far has not focused on the mutual comparison of the theory of fortification syst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y of fortification system and the technology of construction through the results of many recent excavations. The fortification system of 『GihyoSinseo』 presented the standard of fortresses to strengthen the walls, devised other standards and forms to cope with enemies armed with musket and arrows, and prepared various systems such as Chiseong, Ongseong, and hyeonan. In Joseon, this system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during the Imjinwaeran, it was centered on strengthening the defense power of the Yeojang, and Poru the importance of artillery. In addition, In addition, Lee Si-bal broadly accepted China's theory of fortification system in the 「Suseongjoyak」 established the size of the fortress and the standard of Yeojang, and insisted on the introduction of defense facilities such as the Hyeonanhyeol, Osungji, Seongnang. and Yoo Hyeoung-won insist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Japanese construction technology along with the previous construction technology in 『Bangyersurok』, and suggested a detailed construction technology. In the 18th century, the Chinese military book 『Mubiji』 was introduced. the synthesized various This book books such as pre-Myeongdae Byeongseo, 『GihyoSinseo』, 『Siljeongrok』, and 『Seongseo』,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mpilation of 『Seongjego』, the theory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research results of a long period of study are largely reflected i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Hwaseong Fortress in Suwon. As such, while introducing the Chinese fortification system, studies suitable for our situation continued, and these contents developed as they were accumulated. And these theories were applied to actual fortress construction technology and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fortress construction technology in the late Joseon Dynasty.
Ⅰ. 머리말
Ⅱ. 임진왜란의 발발과 조선 성제의 변화
Ⅲ. 17세기 성제와 축성기술 검토
Ⅳ. 18세기 성제와 화성의 축성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