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理藪新編』의 내용과 사료적 가치

Contents and historical value of 『Isusinpyeon』

  • 5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jpg

『이수신편』은 조선후기 실학자인 이재 황윤석이 백과사전 형식으로편찬한 과학서이다. 황윤석은 16세 때인 1744년(영조 20년) 9월부터 4 년 후인 1748년까지 『이수신편』을 편찬하였다. 그러나 『이수신편』을 완성한 시점이 언제인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1768년 이후까지 수정과 보완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황윤석이 직접 쓴 친필본 『이수신편』은 4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있다. 황윤석은 『이수신편』의 내용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자기 나름의 편목을 설정하여 『성리대전』의 내용을 대폭 축약하고, 여러 가지의 문헌에서 관련 내용을 뽑아 삽입한 후 간단한 주석과 자신의 견해를 덧붙였다. 특히 황윤석은 『이수신편』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중국과 한국의많은 저술을 참고하였다. 『이수신편』의 사료적 가치는 먼저 황윤석의 성리학에 대한 인식과조선시대 국어사와 국문학을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라 할 수있다. 또한 『이수신편』은 우리나라 수학사 연구와 천문, 지리, 역학 등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사료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Isusinpyeon』 is a scientific book compiled in an encyclopedia format by LJae Hwang Yun-seok,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Hwang Yun-seok compiled 『Isusinpyeon』 from September 1744(20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when he was 16 years old until 1748, four years later. However, it is unclear exactly when 『Isusinpyeon』 was completed. The manuscript 『Isusinpyeon』, written by Hwang Yun-seok, consists of four books and is currently in the possess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the process of composing the contents of 『Isusinpyeon』, Hwang Yun-seok set up his own section, drastically abbreviating the contents of 『Seongri Daejeon』, extracting and inserting relevant content from various documents, and then providing brief annotations and his own opinions. added. In particular, Hwang Yun-seok referred to many Chinese and Korean writings in the process of editing 『Isusinpyeon』. The historical value of 『Isusinpyeon』 can be said to be very useful material for studying Hwang Yun-seok's perception of Neo-Confucianism and the history and literature of the Korean languag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susinpyeon』 has valuable historical value in research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astronomy, geography, and mechanics in Joseon.

Ⅰ. 머리말

Ⅱ. 『이수신편』의 편집과 간행

Ⅲ. 『이수신편』의 체제와 내용

Ⅳ. 『이수신편』의 사료적 가치 - 결론에 대신하여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