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선언을 시작으로 탄소중립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탄소저감이나 기술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여 ESG와 SDGs 목표를 연계한 코펜하겐(CPH2025)과 제주특별자치도(CFI2030)의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해 지속 가능한 탄소중립 도시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들에 기초하여 ESG를 기술/법 제도/리빙랩으로 재분류하고 평가 척도를 구성하여 CPH2025와 CFI2030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성공적으로 평가받고 있는 탄소중립 도시의 사례를 통해 장단점을 비교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지속 가능한 탄소중립 도시의 방향을 이끌어내는 데 의의가 있다.
Following the declaration of carbon neutrality by 2050, interest in carbon-neutral cities has surged, although most research primarily focuses on carbon reduction and technological aspects.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by linking ESG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goals with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Copenhagen (CPH2025) and Jeju Island (CFI2030). Based on previous research, ESG factors were reclassified into technology, legal systems, and living labs, and an evaluation scale was constructed to compare CPH2025 and CFI2030. This study compar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se successful carbon-neutral city case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sustainable directions for carbon-neutral cities from a new perspective.
서론
선행연구 검토
연구 방법
연구 분석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