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平眞詮』은 ‘팔자의 용신은 오로지 월령에서 구한다.’고 할만큼 철저하게 월령 중심 용신이론을 견지한다. 『淵海子平』과 마찬가지로 일간과 월령을 배합하여 생극을 나누는데, 『子平眞詮』에서는 이를 善한 것과 不善한 것으로 구분하였고, 또한 用法까지도 명확하게 적시하였다. 재·관·인·식은 善한 것으로 順用하고, 살·상·겁·인은 不善한 것으로 逆用한다. 용신이 정해지고 나면, 다시 순용과 역용을 통해서 일차적으로 성패를 구분한다. 그러나 팔자 안의 어떤 글자에 의해서 이차적인 성중유패나 패중유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子平眞詮』에서는 이를 帶忌와 救應으로 설명한다. 즉 일차적으로 성격하였으나 어떤 글자에 의해 이차적으로 패격이 되면 成中有敗가 되고, 패격하게 만든 神이 帶忌이다. 또한 일차적으로 패격하였으나 어떤 글자에 의해 이차적으로 성격이 되면 敗中有成이 되고, 성격하게 만든 神이 救應이다. 『子平眞詮』에서는 일차적으로 성격이나 패격하는 신을 相神이라 하였고, 이차적으로 대기나 구응하는 신도 相神이라고 하였다. 相神은 단순히 성패만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성패 이후의 대기와 구응과 관계된 일련의 모든 造化를 설명하는 고유한 용어이다. 따라서 『子平眞詮』의 용신의 궁극적인 성패는 相神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는데, 이는 군주와 재상의 관계로 비유할 수 있다. 군주가 聖君이 되느냐 暴君이 되느냐는 군주 자신의 賢否와 이를 보필하는 宰相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논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子平眞詮』의 용신 이론의 특징이 월령용신과 相神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월령용신 이론은 자평명리학의 창제때부터 전승되어온 월령이론을 일관되게 계승한 것이다. 또한 상신이론은 용신을 설명하기 위하여 새롭게 도입한 개념으로, 동시대의 다른 자평명리학 고전과 다른 가장 독창적인 내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子平眞詮』의 용신과 相神 이론은 자평명리학의 창제의도와 근간이라는 측면으로 볼 경우, 현대명리학에서 다양하게 전개되는 이론들에 시사하는 바가 크고, 앞으로 더욱 더 깊은 학문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Yongsin is none other than the spirit of Japyeongmyeongrihak, which guides and coordinates its entire theoretical system. The Yongsin Theory can be the academic destination to be sought by Japyeongmyeongrihak. Through this theory, we will be able to elucideate what is the academic spirit that Japyeongmyeongrihak is oriented to, and where lies the spirit that the body (=Ilgan) should aspire to and live by. Japyeongjinjeon strictly adheres to the Yongsin Theory, to the extent that it maintains ‘Yongsin of one’s Eight Letters can only be sought from the Age of the Moon. Japyeongjinjeon classifies cooperation and conflict by combining Ilgan and the Age of the Moon, as was the case in Yeonhaejapyeong. Japyeongjinjeon classifies them into what is good and what is bad, specifing the usage of each. Jae·Gwan·In·Sik are good and therefore should be subject to Sunyong, and Sal·Sang·Geop·In are bad, and therefore should be subject to Yeokyong. One the Yongsin is determined, the Win/Loss is primarily determined through Sunyong and Yeokyong. However, a letter among the Eight Letters may cause secondary Seongjungyupae or Paejungyuseong. Japyeongjinjeon explain the above in terms of Daegi and Gueung. That is, Seongjungyupae is where the initial win is followed by the subsequent loss caused by a certain letter. The God who brought about such loss is Daegi. In addition, Paejungyuseong is where the initial loss is followed by the subsequent win, and the God who brought about such win is Gueung. Japyeongjinjeon refers to gods which causes either the initial win or the initial loss as Sangsin, which was also the name for the God related with th subsequent Daegi or Gueung. Sansin does not simply determine win or loss: it is a unique term which explains the harmony of all factors related with Daegi and Gueung after win or loss. In this sense, Japyeongjinjeon maintained that win or loss is determined by Sangsin, which can be analogiz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 ruler and his minister: whether a ruler becomes a wise ruler or a tyrant is determined by the benignancy of the ruler himself and the minister who aids him. The Writer found that the Yongsin Theory of Japyeongjinjeon is characterized by the Yongsin of the Age of the Moon and Sangsin. The Yongsin of the Age of the Moon Theory is the direct successor of the Age of the Moon Theory that passed down from the very inception of Japyeongmyeongrihak. In addition, the Sangsin Theory was a fresh addition introduced to explain Yongsin, which represents the most original theory distinguished from other classics of Japyeongmyeongrihak. Therefore, the Yongsin Theory and the Sangsin Theory in Japyeongmyeongrihak has immense implications for various theories developed by Myeongrihak today, in that they represent the original intention behind the conception of Japyeongmyeongrihak, as well as the foundation thereof. And they warrant the need for more in-depth academic efforts in the future.
Ⅰ. 序論
Ⅱ. 用神과 用神의 成敗
Ⅲ. 帶忌 · 救應과 相神
Ⅳ. 結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