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jpg
학술저널

선암사 조사당 고승진영 연구 - 도상적 특징 및 깨달음의 얼굴을 찾아서

A Study of High Priests’ Portraits in the Josadang of Seonamsa Temple: Analyzing Pictorial Features and Exploring the Face of Enlightenment Depicted in the Portraits

선종(禪宗)이 중심을 이루는 한국 불교에 있어 고승진영은 제자들이나 재가신도(在家信徒)들이 스승의 존재를 떠올리며 수행(修行)의 경책(警責)으로 삼고, 또 진영을 조성해 역대 스승들의 법통(法統)을 세움으로써 가풍을 형성하고 정신적 결속을 다지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고승 진영이 그려지기 시작한 것은 불교의 수용과 때를 같이하여 일찍이 꽃피었다고 생각된다. 기록에 의하면 후기신라 말부터 진영제작이 활발히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고 선암사의 창건(創建)또한 후기신라 말이므로 이때부터 선암사에서도 진영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많은 전란(戰亂)이나 자연적 열화(劣化)의 과정을 거치면서 진영들이 소실(燒失)되거나 유실(遺失)또는 훼손(毁損)되었기 때문에 원본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는 진영은 대부분이 17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진영으로 모셔진 인물들은 대부분 사찰의 창건이나 중창(重創)주, 또는 선암사에서 활동한 스님으로 후대에 존경과 칭송을 받았거나 한국불교사에 큰 업적을 남기신 분들이다. 그리고 선암사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으나 법맥(法脈)을 중시하는 한국불교에서 선암사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상징적인 인물들을 봉안(奉安)하였다. 현재 선암사에는 50여점의 진영이 진영당(眞影堂)과 조사당(祖師堂)에 모셔져 있으며 특히 조사당에는 부처님이 가섭존자에게 전한 법맥을 중국과 우리나라 그리고 선암사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이어오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중흥조스님들의 진영이 모셔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암사의 역사와 고승진영의 봉안(奉安)내력, 그리고 조사당에 모셔진 스님들에 대한 행적을 알아보고 진영이 단순히 초상화의 개념을 넘어서 우리 불교 전통의 사자상승(師資相承)을 증표(證票)하는 신물(信物)로써 그 안에 표현된 상징성과 도상(圖像)적 특징을 분석해보고 외형 묘사뿐만 아니라 한 걸음 더 들어가 그 진영들의 주인공에 대한 성품과 그가 깨우친 진리의 정수(精髓)를 확인하려고 한다.

In Korean Buddhism where Zen plays a key role, High Priests' portraits have led their disciples and home-living believers to feel their teachers' presence and devote themselves to practicing asceticism. Additionally, High Priests' portraits help set up the religious tradition of preceding teachers and also strengthen the spiritual solidarity of believers. High Priests' portraits are presumed to date from ancient Korea, Unified Silla, when Buddhism was embraced in this country.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High Priests' portraits began to be produced a lot in the late Unified Silla, when a Buddist temple, Seonamsa temple was constructed and portraits were likely to be painted there too. However, portraits were destroyed by fire or lost amid frequent wars, and they were also damaged through natural deterioration. Thus, the portraits that have survived to date in the original state seem to have been produced after the 17th century. Most subjects of portraits were builders or remodellers of Seonamsa temple or the monks of the temple who were respected and praised by later generations or who made grea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n addition, they enshrined symbolic figures of Korean Buddhism in Seonamsa temple, although they were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temple, in order to enhance the status of the temple, placing a high value on continuing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At present, Seonamsa temple houses over 50 portraits in Jinyeongdang and Josadang. Particularly, Josadang has the portraits of High Priests who contributed to revitalizing Buddhism by playing a critical role in continuing the tradition of Dharma, which Buddha had passed down to Kasyapa, a Buddhist priest of eminent virtue, and travelled a long way to Seonamsa temple, Korea via Chin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y of Seonamsa temple and how High Priests' portraits were enshrined in the temple, and also traces the life of the monks enshrined in Josadang.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symbolic and pictorial features of the portraits, which are not a simple picture but a token of faith that verifies the tradition of Buddhism that a monk passes down what he has received from his teacher to his disciple. The focus of analysis will go beyond description of portraits and examine the characters of the subjects of portraits and the essence of truth they attained.

Ⅰ. 머리말

Ⅱ. 고승진영 봉안의 역사

Ⅲ. 선암사의 역사

Ⅳ. 선암사 조사당 고승진영의 특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