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jpg
학술저널

대종교의 초기 예식 -1909~1911년 羅喆 都司敎 시기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religious rituals in the early part of Daejonggyo

  • 5

일제 강점기 국조 단군을 내세워 민족의식 고취와 대중 포교에 앞장섰던 민족종교 대종교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독립운동사 분야에서 주로 항일활동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90년대부터 대종교 의례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는데 대종교 예복과 선의식의 두 가지 주제에 집중되어 왔다. 필자는 문헌에 바탕을 둔 기초 성과가 학계에 부족했다고 문제의식을 느끼고 대종교 초기 1909년부터 1911년 사이의 예식을 상세히 살펴보았다. 대종교 都司敎 羅喆은 창시자가 아니라 백두산 도인 집단의 수장이라는 白峯으로부터 도맥을 전수받은 인물로서 교리, 교사, 의례 서적들을 전수받았다. 단군교 예식서는 「입교절차」, 「봉교절차」, 「봉교과규」가 대표적인데, 나철은 重光 첫 해 동안 단군교 제례 문헌인 「봉교절차」의 내용을 철저히 지키며 소제ㆍ중제ㆍ대제를 빠짐없이 행하여 포교의 사명을 충실히 완수하였다. 1910년 일제가 나라를 강점하자 나철은 8월 1일자로 단군교에서 대종교로 교명을 바꾼 뒤 9월 15일부터 소제와 중제를 폐지하고 일요일 경배식으로 대체하였다. 9월 27일 「의식규례발포안」을 제정하였는데, 그 내용은 교명과 연호, 경절과 경일, 교당, 교인, 교리, 교기, 교규와 교계에 관한 20개 조항으로 구성되었다. 나철은 백봉 교단의 방식을 그대로 답습하는데 머물지 않고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현실에 맞게 개혁을 시도하였다. 나아가 단군의 위패를 단군 초상화로 교체시키고, 대제일인 ‘개극일’의 명칭을 ‘개천일’로 고쳤으며, 연호를 단기인 ‘개극입도’에서 단군 강림 이전의 기간 124년을 더한 ‘천신강세’로 변경시켰다. 1911년 1월 15일자로 선포한 『홍범』은 교명, 교당, 각사와 오대종지, 영계, 천기(교기), 교인 품계와 의무의 총17조항으로 구성되었다. 기타 교당 구조와 조직, 상벌에 관한 세부 조항을 「대종교내규」에 담고, 예식에 관한 세부 사항을 「대종교의전」에 나누어 정리했다. 나철은 일제에 맞서 이와 같은 예식 정비를 통해 교단 조직과 포교 전략을 공고히 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제 치하에서 오히려 대종교 교기를 제작하고 백두산 남북으로 포교 구획을 정하는 사실, 부여 시대 의식이라는 ‘천서례’를 복원하는 등 전래의 유교적 성향의 예식에서 벗어나 민족 고유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면이 주목된다. 일제의 종교 탄압이 1911년 종교취체항으로 구체화된 뒤 1915년 종교통제령으로 가혹해졌다는 배경과 비교해서 본다면 1911년부터 1916년 조천할 때까지 나철이 줄기차게 시행한 의례 정비는 종교적, 역사적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그간 간과되었던 종교지도자로서 나철의 수행과 이적 등 종교운동의 측면에서 재평가가 필요하고, 대종교 교리에 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udy of Daejonggyo, the Korean native religion, which arous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took the initiative in propagating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has primarily focused on an anti-Japanese struggle in the area of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so far. The study of religious rituals in Daejonggyo, which began from 1990s, has been focused on the two subjects, which are the ceremonial dress and Seoneusik, which is the original religious ceremony in Daejonggyo. This writer has thought that there is a shortage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basis of credible document in the established academic world, so he has made a serious study of the religious rituals from 1909 to 1911 in the early part of Daejonggyo. Racheol, the chief Daejonggyo leader, who was not so much the founder of Daejonggyo as a figure who received the religious mainstream from Baekbong called the head of an ascetic group residing in Mt. Baekdu, was given the literature on Daejonggyo doctrines, Daejonggyo history, and Daejonggyo rituals by the group. The documents on Dangungyo or Daejonggyo rituals consist of 「Ipgyojeolcha」, 「Bonggyojeolcha」, and 「Bonggyogwagyu」. Racheol observed in a thorough way the ritual arrangements which were included in 「Bonggyojeolcha」. In addition, he carried out the mission of propagation faithfully by observing the small religious ceremony, the medium religious ceremony, and the large religious ceremony in a literal fashion. When the Japanese Empire came to occupy Korea in a forceful way in 1910, Racheol changed the religion name from Dangungyo to Daejonggyo on the First of August and then abolished the small religious ceremony and the medium religious ceremony from the fifteenth of September and replaced them with Sunday Worship Ceremony. Besides, he enacted the statement about the religious ceremony rules called「Eusikgyuryebalpyoan」, which constitutes the 20 articles about the religion name, the era name, the fete days, the festival days, the church of Daejonggyo, believer, Daejonggyo doctrines, the church banner, the church regulations, and the church coverage. Instead of being satisfied with following blindly Baekbong's way of managing the religious body, Racheol made up for its shortcomings and attempted the realistic reforms. Moreover, he substituted the Dangun's portrait for the mortuary tablet in honor of Dangun, shifted the name of ‘Gaegeukil’ which belongs to the day for a large religious ceremony to ‘Gaecheonil’, and changed the era name from ‘Gaegeukipdo’, which represents the Dangun Origin, to ‘Cheonsingangse’, the year which started 124 years prior to Dangun’s descending. 『Hongbeom』 which was proclaimed as of January 15, 1911 consists of a total of seventeen articles - a religious name, Gyodang(the Church of Daejonggyo), Gaksa(the words for enlightenment), Daejonggyo five principles, Yeonggye(Daejongyo baptism), a religious banner, grades and duties of believers and so on. The other articles such as a church structure, a religious system, and detailed articles on reward and punishment are included in 「Daejonggyo Internal rules」 and detailed articles on religious ceremonies are arranged in 「Daejonggyo formality」 separately. Standing against Japanese Imperial, Racheol is thought to have attempted to solidify the religious body and the strategy for propagation through the ceremony reorganizati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it is noticeable that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Confucian rituals, Daejonggyo took steps to place an emphasis on the ethnic identity, for example, making a religious banner, establishing the coverage of propagation up to the north and south of Mt. Baekdu. and restoring ‘Cheonseore’, which is called the ceremony in Buyeo Era.

Ⅰ. 머리말

Ⅱ. 대종교 초기 예식서

Ⅲ. 대종교 초기 예식의 절차와 『弘範』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