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太虛와 少太山의 불교개혁운동

Taixu and Sotaesan’s Buddhist Reformation Movements

  • 8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jpg

타이쉬(taixu)와 소태산은 중국과 한국의 근대불교개혁을 이끈 선구자이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양국은 모두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사조 아래 국가와 민족의 생사존망이 위태로워지고, 불교계 또한 장기간의 숭유억불(崇儒抑佛)정책으로 날이갈수록 피폐해지고 승려들의 부패타락도 심해지고 있었다. 이런 역사적인 배경 하에 타이쉬는 중국에서, 소태산은 한국에서 전통불교의 폐단을 혁신하고 불교의 이념으로 세상을 구원하기 위한 불교개혁운동을 펼쳤다. 타이쉬는 불교개혁운동을 통하여 불교의 인본정신과 보살행을 강조한 ‘인간불교’ 이념을 제기하였고, 소태산은 재래불교에 대한 혁신을 통하여 불법의 ‘시대화ㆍ대중화ㆍ생활화’를 구현하려 하였다. 이들의 불교개혁운동의 영향으로 오늘날 타이쉬의 ‘인간불교’ 이념은 중국 대륙과 대만불교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소태산의 창시한 원불교는 100주년을 맞아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종교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Taixu and Sotaesan are the pioneers of the reformation of modern Buddhism in China and Korea respectively. Entering the modern times, both countries found themselves in a life and death situation due to the Eastern Expansion of Western Powers. At the same time, Buddhism was suppressed in favor of long-term policies of supporting Confucianism. Within this historical context, Taixu in China and Sotaesan in Korea, tried to renovate traditional Buddhism’s unreasonableness and gave rise to the Buddhist reformation movement to save the world. Taixu, emphasizing Humanism and the Bodhisattva’s way, raised Humanistic Buddhism. Sotaesan, renovating the traditional Buddhism, made an effort to realize the modernization, popularization and suitableness-of-living of Buddhist Teachings. Through these Buddhist reformation movements Taixu’s Humanistic Buddhism has become a mainstream of Chinese and Taiwan Buddhism and Sotaesan’s Won-Buddhism, marking the centennial year of its foundation, has gradually spread from Korea to abroad as an international religion.

Ⅰ. 서언

Ⅱ. 타이쉬의 불교개혁운동

Ⅲ. 소태산의 불교개혁운동

Ⅳ. 타이쉬와 소태산의 불교개혁운동 비교

Ⅴ. 결어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