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장횡거 수양론의 연구 - 수양의 장애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ivation Theory of Zhanghengqu (張橫渠) : Focusing on the Obstacle Factors in Cultivation

  • 5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jpg

중국 근대의 철학으로서 송대 철학은 先秦시대 고대철학의 심화를 가져다주었다. 주렴계·정명도·정이천·장횡거·주자 등 송대 巨儒들은 性理學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을 정립하였으며, 이에 따른 성리학의 흥성은 人性에 대한 이론 정립과 더불어 수양론의 관심과 체계화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횡거의 철학이 체계화되면서 수양의 중요성을 그 시대가 깊이 있게 간파했다고 본다. 잘 알다시피 횡거의 수양론은 氣哲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그것은 우주론에 대한 인성론의 전개로서 天地之性과 氣質之性을 언급한 그의 사상에서 두드러진다. 그는 본연의 천지지성을 회복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기질지성을 극복하도록 하면서 수양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양에 저해되는 요인은 다름 아닌 性의 이중성 때문이라 하면서, 천지지성에 대한 기질지성이 갖는 선악 偏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인간의 外物에 대한 人欲을 거론하며 이를 절제해야만 이상적 인간상을 간직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본 연구는 횡거 수양론에서 수양의 장애요인을 밝히고 이를 극복하는 길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크다.

As a modern philosophy of China, the philosophy of Song Dynasty brought about the deepening of the ancient philosophy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of ‘Spring and Autumn’. Great Confucian scholars of the Song Dynasty such as Zhou Dunyi (周敦頤), Chengming Dao (程明道), Cheng Yi (程頤), Zhanghengqu, Zhuzi (朱子), established various views on Neo-Confucianism (性理學; study on the principles of nature). The flourishing of Neo-Confucianism according to it was achieved by the interest in and the systematization of the theory of cultivation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theories on human nature. As Zhanghengqu’s philosophy was systematized, the era witnessed a deeper recognition the importance of cultivation. As is well-known, the cultivation theory of Zhanghengqu was focused on the Qi (氣, energy) philosophy, which stands out among his ideas referring to the ‘nature of temperament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one’s mental energy)’ (氣質之性) as a theory of human nature against the ‘nature of heaven and earth’ (天地之性) that described a cosmological viewpoint. He stressed the need for cultivation, teaching that the inherent nature of heaven and earth should be restored and undesirable aspects of nature should be overcome. Nevertheless, he pointed out the problems, biased and indecent from the good and evil, that the ‘nature of temperament has against the ‘nature of heaven and earth’, saying that it is the duality of the nature (性) that hinders cultivation. Referring to human desires toward external objects, he sai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l human can be realized only through restraining those desir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lucidates those factors that served as obstacle to the theory of cultivation by Zhanghengqu and suggests the ways to overcome them.

Ⅰ. 서론

Ⅱ. 횡거 修養論의 의의

Ⅲ. 人欲의 문제

Ⅳ. 性論의 이중성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