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회란 얼마나 중요하며 그것이 무엇인가를 인지하는 일은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 해결에 있어서 참회를 그만큼 절실히 요구한다는 것일 것이다. 오늘날 도덕성의 상실이 심각한 상황이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거나, 설사 인정을 한다고 해도 진정한 참회를 하려고 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것이 물질 가치의 비등에 따른 도덕 불감증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이에 기성종교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참회개념은 참회의 필요성을 인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회에 대한 개념을 분명히 정립함으로써 참회의 의의와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며 바람직한 사회를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다. 사전적인 참회의 개념도 필요하겠지만 종교적 참회의 개념을 부각하고자 하는 것은 참회의 신앙적 지속성에 관련되며 그것은 인격함양의 힘과도 관련되어 있다. 오늘날 종교를 돈독하게 신앙하는 신자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참회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면 그것은 성찰해야 할 것으로, 사회적으로 심각한 병이 들었다는 뜻이다. 이에 종교의 참회개념을 노정함으로써 무엇보다 종교인들이 솔선하여 참회의 대열에 들어서서 도덕성의 회복과 청정 자성을 회복하는 일이 요구된다. 오염된 상태에서 바른 양심을 회복할 수 있도록 사회 구원을 위해 기성종교와 원불교의 참회개념과 그 중요성을 드러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기성종교의 참회개념을 시사 받아서 원불교의 참회개념을 도출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특히 불교를 새롭게 혁신한 원불교로서 참회의 개념과 중요성을 밝힘으로써 수행자의 참회 기도와 참회 수행에 指南이 되면 좋을 것이다. 기성의 모든 종교가 지향하는 참회개념은 개인 구원과 사회 구원에 관련되어 있다. 그 경향성으로 볼 때 기독교는 후자에 가깝다면 불교는 전자에 치우친 성향이 있다. 원불교의 참회개념은 이러한 기성종교의 참회개념을 참조함으로써 그 모색이 가능하며, 이는 개인 구원은 물론 낙원건설에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소태산이 『정전』 「교법의 총설」에서 유불선 3교의 통합 활용을 강조한 점에서 참회의 개념 파악이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기 때문이다.
Considering how important repentance is, and what it is, it is clear that repentance is so desperately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Today, loss of morality has reached a serious level, which is the result of many people being unable to admit their faults, or even if they do, not seeking true repentance. This behavior is a factor that deepens an indifference to ethics, jumping on the bandwagon of rapidly pervasive materialistic values. Therefore, the concept of repentance to be extracted from established religions in this study is to help us recognize the necessity of repentance. By clearl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repentance, its meaning and direction can be determined, which is also necessary for a desirable society. Although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penitence needs to be well understood, the concept of religious repentance should be emphasized, since religions not only maintain repentance in their manner, but also have the power to cultivate personal character. In addition, it is because there are many believers who lead deeply religious lives today. Nevertheless, if true repentance has not been achieved, this is something to be reflected on, indicating that we live in a morally sick society. Accordingly, by examining the concept of repentance in religion, it is required above all for religious people to take the initiative to walk the path of true repentance and restore morality and self-nature in a pure state. It is necessary to explore and highlight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repentance in established religions and Won Buddhism for the salvation of society, so that moral conscience can be restored from an immoral state.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oncept of repentance in Won Buddhism by referring to that of repentance suggested by established religions. In particular, for Won Buddhism, which newly innovated Buddhism, it would be good to provide guidance for practitioners' repentant prayer and practice by clarifying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penitence. The concept of repentance that all established religions aim for is related to personal and social salvation. Christianity tends to be closer to the latter, while Buddhism tends to lean towards the former. The concept of repentance in Won Buddhism can be sought by referring to that in established religions, and it also should help not only personal salvation but also in building a Heaven on Earth. This approach would help in determining the concept of repentance in that Sotaesan, the founder of Won Buddhism, emphasized the integrated use of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Jeongjeon (정정; Won Buddhism scriptures) and General Doctrine of Won Buddhism (교법의 총설).
Ⅰ. 서론
Ⅱ. 기독교의 참회개념
Ⅲ. 불교의 참회개념
Ⅳ. 원불교 참회개념의 모색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