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에 대한 1단계 입법으로 불공정거래 행위 금지의무 등을 부과하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이 2024년 7월 시행되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Howey Test를 적용하여 투자계약증권(Investment Contract)으로 해석되는 토큰에 증권 규제를 부과하려 시도하지만 증권성에 대한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증권성에 대한 기준이 확립되지 않은 가상자산 규제의 초창기에는 토큰 증권과 기타 토큰에 동일한 규제를 부과하여 증권성으로 인한 규제 차익(Regulatory Arbitrage)을 해소해야 한다. 그리고 게이트 키퍼(Gate Keeper)인 가상자산사업자를 규제 포인트(Point of Control)로 지정하여 발행 재단의 규제 준수를 간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토큰경제가 성숙하며 분류 기준이 정립되고 토큰 증권에 비해 기타 토큰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도 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면 이를 논의할 수 있으나, 현재는 강화된 규제가 요구된다.
The Virtual Asset User Protection Act, which imposes obligations to prohibit unfair virtual assets trading as the first-stage legislation for virtual assets, was implemented in July 2024. In the United States,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 applies the Howey Test to impose securities regulations on tokens interpreted as investment contracts. However, the issuing foundations and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deny the nature of the securities, and the conflict continues. In the early stages of regulating virtual assets, regulators should impose the same regulations on security tokens and other tokens to eliminate regulatory arbitrage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securities. In addition, designating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playing a part as gatekeepers, as points of control can indirectly induce regulatory compliance from issuing foundations. We can discuss deregulations on other tokens in the future when the token economy matures, classification criteria are established, and a social consensus about the deregulations is reached. However, currently, strengthened regulations are required.
Ⅰ. 서론
Ⅱ. SEC의 가상자산시장에 대한 규제
Ⅲ. 가상자산시장의 건전성 제고를 위한 규제 방향
Ⅳ. 규제에 대한 도전과 해결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