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프랑스문화연구 제62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에티오피아 문명과 자아의 탐색 - 제라르 마세의 『에티오피아 : 책과 양산』을 중심으로

«La recherche de la civilisation éthiopienne et de soi» - dans Éthiopie : le livre et l'ombrelle de Gérard Macé

DOI : 10.18022/acfco.2024.62.1.003
  • 16

본 연구는 제라르 마세 Gérard Macé의 『에티오피아 : 책과 양산 Éthiopie : Le livre et l’ombrelle』에서 '에티오피아 문명과 자아 탐색’을 주제로 삼아, 작가가 에티오피아 문명을 통해 자아를 재인식하는 과정을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제라르 마세의 여정을 따라, 나일강과 홍해가 만나는 지점에서 시작된 에티오피아 문명을 탐색하였다. 작가는 에티오피아 문명의 신화를 영속화한 유산들, 예를 들어 최초의 인류로 추정되는 화석이나 솔로몬과 시바 여왕을 부각한다. 시바 여왕의 유적과 언약의 궤, 에티오피아 문명의 역사적 필사본은 전설의 실재성을 뒷받침한다. 둘째, 제라르 마세가 찬미한 성지를 통해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신앙’을 부각하였다.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이슬람, 제국주의, 공산주의, 종족 분쟁, 세계화 속에서도 독립적인 역사를 유지해왔다. 마세는 랄리벨라에서 성서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사제들과 가파른 데브레 다모를 오르는 사람들에 관한 글과 사진을 통해 신앙의 경이로움을 생생하게 전한다. 더욱이, 신자들이 쥔 '양산과 막대기’는 물질적 결핍에서 오는 상실감을 덜어주며, 정교회의 상징적 의미를 강화한다. 셋째, 작가가 고대부터 이어진 '에티오피아 특유의 풍습’을 통해 '자아를 재발견’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에티오피아 사람들의 생활 방식, 미신, 악귀를 물리치는 풍습은 유럽 문화와는 다른 정서를 자극한다. 작가는 이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새롭게 바라보게 되며, 이러한 내적 성찰은 빅토르 세갈렌이 강조한 다양성의 미학을 넘어서 인류 전체로 확장된다. 제라르 마세의 새로운 세상과 인류의 기원을 향한 탐구는 언어, 인종, 국가의 암묵적인 경계를 해체하고, 시공을 초월하여 자아의 근원을 찾는 여정이다. 그의 창작은 서로 다른 매체와 장르를 횡단하며 지역 문화의 다양성을 고양하고, 서구 중심의 문화 지형도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이해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Cette étude explore le thème de « la recherche de la civilisation éthiopienne et de soi » dans l’essai photographique de Gérard Macé, Éthiopie : Le livre et l’ombrelle. Dans un premier temps, nous analyserons la « civilisation éthiopienne », souvent considérée comme le berceau de l’humanité. Gérard Macé soutient que le premier fossile présumé de l’humanité, ainsi que des figures légendaires telles que Salomon et la reine de Saba, perpétuent la mythologie éthiopienne. De plus, les reliques associées à la reine de Saba, telles que l’Arche d’Alliance et divers manuscrits, renforcent la conviction que ces légendes possèdent une dimension réelle. Ensuite, nous examinerons la « foi de l’Église éthiopienne », qui préserve son histoire malgré les influences des forces islamiques, de l’impérialisme, du communisme, des conflits ethniques et de la mondialisation. Gérard Macé montre cette foi profonde à travers ses écrits et ses photographies, mettant en lumière les prêtres pratiquant les enseignements bibliques à Lalibela et ceux gravissant les pentes abruptes du monastère de Debre Damo. L’ombrelle et le bâton tenus par les croyants semblent être des symboles de l’Église éthiopienne, apportant un réconfort intérieur aux démunis. Enfin, nous montrerons comment Gérard Macé « se découvre » en observant ceux qui suivent les « coutumes éthiopiennes » ayant survécu depuis l’Antiquité. Le mode de vie des habitants, leurs superstitions et leurs rites pour repousser les mauvais esprits suscitent des sentiments différents de ceux de la culture européenne à laquelle l’auteur appartient, ce qui l’amène à percevoir une nouvelle image de soi. Cette réflexion intérieure dépasse « l’esthétique du divers » mise en avant par Victor Segalen pour embrasser l’humanité dans son ensemble. Le désir de l’auteur de découvrir de nouveaux mondes et de retracer l’origine de l’humanité franchit les frontières implicites de la langue, de la race et de la nation. C’est un voyage pour retrouver ses origines en transcendant le temps et l’espace. Sa création, valorisant la diversité de la culture locale à travers divers genres et médias, contribue à une compréhension critique de la culture centrée sur l’Occident.

1. 들어가는 말

2. 에티오피아 문명

3.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신앙

4. 에티오피아의 풍습과 자아의 재발견

5. 나오는 글

참고문헌

로딩중